![]() |
| 3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홍보관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 4100선을 돌파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지만, 개인투자자 절반 이상은 여전히 손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연합뉴스가 지난달 30일 기준 NH투자증권에 의뢰해 국내 주식 잔고를 보유한 고객 240만1502명의 계좌를 분석한 결과, 손실을 기록한 투자자는 131만2296명으로 전체의 54.6%를 차지했다.
이날은 장중 코스피가 처음으로 4100을 넘어선 날이다.
손실 투자자들의 총 손실액은 12조2154억원으로 집계됐으며, 1인당 평균 손실액은 931만원에 달했다.
손실 규모별로는 1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 구간이 34만9084명(26.6%)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000만원 이상 3000만원 미만 손실자도 13만9249명(10.6%)에 이르렀고, 5000만원 이상 손실을 기록한 투자자도 5만3405명(4.1%)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중년층의 손실 비율이 높았다. 50대는 34만7285명(60.1%)이 손실을 봤고, 40대도 32만158명(59.7%)이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반면 미성년자는 3만3231명(33.9%)만이 손실 상태였고, 20대도 10만8737명(44.3%)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30대는 25만8258명(52.1%)이 손실을 봤다.
평균 손실액은 60대 이상이 1369만원으로 가장 컸다. 50대는 1257만원, 40대는 929만원, 30대는 479만원, 20대는 215만원, 미성년자는 153만원 순이었다.
투자 금액이 클수록 손실 비율도 높았다. 총 매입액 3억원 이상 투자자의 62.0%가 손실을 봤고, 1억원 이상 3억원 미만 구간도 57.9%가 손실 상태였다.
손실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카카오와 포스코홀딩스였다. 손실 투자자 전체 손실액에서 포스코홀딩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가장 높았다.
카카오는 손실 투자자 131만2296명 중 15만4021명(8.5%)이 보유하고 있어 보유자 수가 가장 많았다. 카카오 주가는 2021년 16만원대까지 올랐으나 현재는 6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 밖에 금양(1.7%), 에코프로비엠(1.7%), 에코프로(1.3%), 셀트리온(1.2%), SK바이오사이언스(1.0%) 등도 손실금액 비중이 높았다.
반면 수익을 낸 투자자들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 비중이 높았다. 삼성전자는 수익 투자자 41만78명이 보유했으며, 수익금액 비중이 19.5%에 달했다. 삼성전자 주가는 연초 5만3400원에서 최근 11만원대까지 2배 이상 상승했다.
SK하이닉스의 수익금액 비중은 9.0%였고, 미국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TIGER 미국S&P500' 보유자도 14만6718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실제로 주식을 매도해 손익을 확정한 투자자는 171만8000명이었다. 이 중 49만명(28.6%)은 손실을 확정했고, 총 손실액은 3조100억원, 1인당 평균 손실액은 613만원이었다.
반대로 수익을 확정한 투자자는 122만7000명(71.4%)으로, 총 수익은 5조9300억원, 1인당 평균 수익은 483만원으로 나타났다. 매도 후 수익을 낸 종목으로는 삼성전자(10.0%), 두산에너빌리티(7.3%), SK하이닉스(5.8%), 한화오션(3.7%)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