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비규제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나고 규제 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거래 플랫폼 직방이 1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0·15 대책 발표 이후 20일(10월16일~11월4일)간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 매매 거래는 6292건으로 대책 발표 전 20일(9월25일~10월14일) 5170건보다 22% 증가했다.
수도권 규제지역 매매 거래량이 한달새 76% 급감한 것과 비교하면 비규제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비규제지역에서 아파트 매매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수원시 권선구로, 143건에서 247건으로 73% 늘었다. 수원시는 장안구, 팔달구, 영통구가 규제지역으로 묶여 권선구만 비규제지역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화성시는 대책 전 561건에서 대책 후 890건으로 거래가 59% 증가했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에서 갭 투자가 원천 봉쇄되자 비규제 신도시인 동탄 일대로 수요가 몰린 영향이란 해석이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전역과 수도권 12개 지역 등 규제 지역의 아파트 거래량은 1만242건에서 2424건으로 76% 감소했다. 특히 서울 영등포구(-95%)와 성남시 수정구(93%), 서울 성동구(-91%) 경기도 분당구(-89%) 등에서 감소율이 높았다.
직방은 “대출 규제와 세제 부담이 덜한 지역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나 일부 관망세를 유지하던 수요층이 유입되며 비규제지역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