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등 고성능 메모리 수요 증가 예상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미국이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나서면서 한국 반도체 및 전력기기 업체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도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관련 제품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 3개 기업이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회사를 설립해 AI 인프라에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초기 투자액은 1000억 달러(약 143조원)이며, 4년간 최대 5000억 달러(약 718조원)까지 투자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산업연구원의 김양팽 전문연구원은 "미국에서 AI 투자를 확대한다는 것은 그만큼 서버와 관련된 소재, 부품이 필요하다는 뜻"이라며 "우리 기업에는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HBM이 전체 시스템에 들어가면서도 DDR5 등 다른 종류의 메모리도 다 필요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투자 계획은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해 AI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국내 메모리 업체들에게 고용량·고성능 메모리 칩에 대한 새로운 수요처가 생길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AI 가속기에 필수적인 HBM뿐만 아니라 DDR5 등 데이터 센터용 고부가가치 반도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중국 메모리 업체들이 레거시 D램 공급 물량을 확대하면서 D램 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 AI 인프라 투자는 이러한 상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HBM 등 고성능 메모리 생산이 확대되면 D램 공급 물량이 줄어들어 가격 안정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전문연구원은 "레거시 D램은 중국과 경쟁할 분야가 아니라 우리 기업들이 공정 전환을 해야 할 분야"라며 "고부가가치 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 레거시 D램 단가가 떨어지더라도 기업 수익성에 그 영향이 상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미국의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계획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내 기업들의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