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브론(CVX), '헤스' 인수는 원유 수요 피크아웃 우려 완화 시그널"

김민영 기자 / 기사승인 : 2023-11-30 13:54:10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미국의 정유업체인 쉐브론(CVX)의 헤스(Hess) 인수는 원유 수요 피크아웃 우려 완화 시그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쉐브론은 지난달 23일 530억 달러에 미국 E&P 업체 헤스 최종인수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 상반기 중 딜이 마무리될 예정인데, 이후 동사는 Bakken 및 글로벌리 매장량과 수익성이 가장 높은 광구 중 하나인 남미 Guyana 유전의 지분 30%를 확보하게 된다.

2014년 이후 메이저 업체들은 저유가 지속과 ESG 압박 강화 등에 따라 업스트림 사업 투자에 소극적으로 임해왔는데, 쉐브론 역시 업스트림 부문의 생산규모(CAPEX) 규모가 2014 년 370억 달러 이후 계속 감소해 2021년 67억 달러까지 줄었다.

전유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이에 보유 매장량도 점차 소진되고 있으나, 신규 광구 탐사와 시추는 대규모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리스크가 커 이미 핵심광구를 보유하고 있는 독립계 업체 인수가 더 효율적인 전략이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출처=하이투자증권)

 

쉐브론은 이번 딜로 2027년 FCF 가 현재 대비 2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며 올해 30~35 억 달러 사이였던 분기당 자사주매입 규모를 50억 달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업스트림 확대를 통한 이익체력 개선 자신감이 돋보이는 부분이라는 평가다.

 

전유진 연구원은 "이번 헤스 인수는 원유 수요 피크아웃(peak-out) 속도와 시기가 우려보다 느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가장 주목할 만하다"고 판단했다. 

 

수요 우려는 최근 정유사들 호실적에도 멀티플 디레이팅의 주요 요인이었던 만큼, XOM-Pioneer 에 이은 금번 CVX-Hess 등과 같은 대규모 인수합병 체결은 한편으로 국내 정유사들의 멀티플 디스카운트 해소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2025.11.10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2025.11.10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N) 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경쟁 심화 우려 지속2025.11.10
샌디스크(SNDK.N) 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NAND 수요도 급증2025.11.10
리비안(RIVN.O), 스카링에 초대형 패키지 제공…"장기 성장 유도"2025.11.10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