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미국에 투자한 반도체 기업들이 미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선 사내 보육시설을 마련해야 할 전망이다.
미 정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정부의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반도체 제조업체들의 노동자들을 위해 적절한 보육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지원 계획을 제출하도록 했다.
27일(현지시간) 해외 언론보도에 따르면 미 상무부는 오는 28일부터 반도체 제조(생산) 인센티브 지원과 관련한 기업들의 신청을 받는다. 기업들은 노동자를 위한 보육 지원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지난해 8월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반도체법에는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들에 대한 390억 달러(약 51조원)의 생산 지원금을 포함해 527억 달러 규모의 예산이 편성돼 있다.
미 상무부가 반도체 생산 지원금을 신청하는 기업들에게 보육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유는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등 제조업을 육성하는 데 있어 많은 노동력들이 보육 비용 부담으로 일터에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엔데믹을 선포했지만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완벽히 회복되고 있지 않는 실정에서 반도체 공장이 들어서는 지역으로 보육 시설 부족 등의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 |
(사진=삼성 반도체 공장) |
이와 관련,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무부가 금주 반도체법을 활용하려는 기업들을 위한 절차와 가드레일(안전장치)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에서 만들고 있는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채울 수 있는 숙련되고 훈련된 노동력을 확보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장-피에르 대변인은 "우리의 노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육의 필요성은 부인할 수 없다"며 이에 대한 해결책의 일부로 상당한 금액의 자금을 요청하는 기업들에게 "강력한 보육 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할 것"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 상무부는 지원금을 받는 기업들의 자금 사용과 관련한 안전장치를 만들기 위해 주식 환매를 제한하고, 정부와 일정한 초과 이익을 공유하는 내용도 요구할 것으로 전해졌다.
러몬도 장관은 같은 날 자신의 트위터에 "우리가 노동력을 더 확보하지 않는 한 반도체지원법은 성공할 수 없으며 저렴한 보육 서비스 없이는 노동력 확보가 불가능하다. 지원금을 받는 기업들에 노동자를 위해 저렴한 보육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하려고 하는지 알려달라고 하는 이유"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김지선 특파원(stockmk2020@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