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AMZN.O), 'WSJ 트럼프발 관세 여파 보도' 강경 대응…규제 우려 의식 하나

김지선 특파원 / 기사승인 : 2025-07-29 07:53:22
  • -
  • +
  • 인쇄
아마존 프라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아마존이 최근 자사 인기 상품 가격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상승했다는 보도에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2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지난주 트럼프가 대규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이후, 아마존 내 저가 생활용품 가격이 평균 5%가량 올랐다고 분석했다.

 

WSJ는 기침약, 항균 물티슈, 치킨 육수 등 약 2,500개 품목을 조사한 결과, 트럼프 취임일인 1월 20일부터 7월 1일까지 이들 품목의 평균 가격이 상승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아마존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WSJ의 보도는 근본적으로 잘못된 분석"이라며 "해당 기사가 특정 사례만을 뽑아 과장했다"고 반박했다. 

 

또한 가격 상승은 프로모션 종료에 따른 자연스러운 회귀일 뿐, 관세나 인플레이션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아마존은 자사 가격 구조가 "다이내믹 프라이싱(실시간 가격 조정)"에 기반하고 있어 시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구조임을 강조하며, "WSJ가 단기간 데이터를 무작위로 추출해 평균을 낸 방식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마존 주가 분석. (자료=초이스스탁)

 

이번 아마존의 즉각적인 대응은 자칫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정치적·규제적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아마존은 과거에도 트럼프와의 마찰로 공공연한 압박을 받아왔다.

 

반면, WSJ의 분석과는 별도로 미국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 가격은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2.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하면, 아마존뿐 아니라 전반적인 생활물가 상승이 소비자 체감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다.

 

주가는 0.58% 상승 후 232.79달러를 기록했다

 

알파경제 김지선 특파원(stockmk2020@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닛산자동차(7201 JP), 2026년 3월기 2,750억엔 영업적자 전망…美 관세·반도체 리스크 직격탄2025.10.31
日 소지쯔(2768 JP) , 호주산 ‘중희토류’ 첫 수입…中 의존 탈피 본격화2025.10.31
가와사키중공업(7012 JP), 뉴욕 지하철 신형 차량 378량 수주…점유율 50% 돌파2025.10.31
다이이찌산쿄(4568 JP) , 900억엔 투입해 차세대 신약 연구시설 건립…‘포스트 엔허츠’ 개발 박차2025.10.31
스트레티지(MSTR.O), 암호화폐 랠리 타고 흑자 전환2025.10.31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