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마창민 DL이앤씨 전 대표의 배신감…중대재해 소송만 7건 홀로 책임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3-06 11:00:58
  • -
  • +
  • 인쇄

 

마창민 DL E&C 대표가 지난 2023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마창민 DL이앤씨 전 대표가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여러 건의 소송을 앞두고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6일 알파경제 취재를 종합해보면 DL이앤씨는 지난 2022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2년간 총 7건(사망 8명)의 사고가 발생했다.

LG출신인 마창민 전 대표는 지난 2020년 DL이앤씨 대표이사로 영입됐으나, 잇단 사고와 실적부진이 겹치면서 3년 4개월만에 떠나게 됐다.

문제는 마창민 전 대표 임기 당시 다수 중대 재해가 터지면서 모든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에 내몰린 것이다.

중대산업재해 6조 1항 처벌 규정을 보면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은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 벌금에 처하고, 형이 확정된 후 5년 이내 반복될 경우 가중 처벌을 받도록 돼있다.

DL이앤씨 내부 사정을 잘 아는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마창민 전 대표가 사임한 뒤 중대재해 소송비를 DL이앤씨가 지원하고 있다”면서 “마창민 전 대표가 잇단 소송으로 시달리고 있으니 고문직이라도 줘 급여 일부라도 받을 수 있도록 최고위층에 내부 건의했으나, 단칼에 자른 것으로 안다”고 조심스레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과정에서 마창민 전 대표가 큰 배신감을 느꼈던 것으로 들었다”고 덧붙였다.  

 

작년 5월 경북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울릉공항 건설현장에서 흙더미가 무너지면서 작업자가 매몰돼 소방 당국이 중장비를 동원해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특히 마창민 전 대표는 재임기간 3년 4개월간 총 6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나, 작년 4월 사임 후 터진 중대재해까지 마 대표가 모두 책임져야 하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마창민 대표에서 서영재 신임 대표가 선임됐으나, 등기이사 교체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중대재해처벌 피의자로 1건 더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일반적으로 대표이사가 퇴임하면 고문 등 예우를 갖추지만, 마 전 대표는 배제됐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DL이앤씨 관계자는 “현재 조사 중인 것으로 어떤 답변을 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동원그룹, 인재상 담은 '도전·창조·함께' CF 시리즈…”젊은 세대 응원 메시지”2025.09.15
한미약품, 멕시코에 당뇨약 공급 계약 체결...중남미 시장 공략 가속2025.09.15
티웨이항공, 신입 객실 승무원 채용...지방 노선 확대 나선다2025.09.15
크래프톤, ‘딩컴’ 닌텐도 스위치 출시 확정·사전 판매 시작2025.09.15
대한항공 3분기 영업익 예상치 하회 전망..여름 성수기 효과 '미미'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