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허쥬마, 日 점유율 74% 달성…독보적 성과 지속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6 08:48:27
  • -
  • +
  • 인쇄
“맞춤형 판매 전략 힘입어 압도적 격차 유지”
같은 항암 계열 베그젤마도 23% 점유율 기록, 전년比 3배 가량 대폭 상승
(사진=셀트리온)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셀트리온의 유방암 및 위암 치료제 '허쥬마'가 일본 의약품 시장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26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허쥬마는 지난 11월 기준 74%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면서 아시아 핵심 시장인 일본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졌다.

허쥬마는 2021년 2분기에 처음으로 오리지널 제품의 점유율을 넘어선 이후, 3년 연속 선두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재 70%가 넘는 점유율로 경쟁 제품들과의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성과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지난 2019년 8월 일본 유방암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3주 요법 허가를 획득하며 제품 경쟁력을 입증한 점,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일본의 제도적 환경, 그리고 현지 의약품 시장을 면밀히 분석한 맞춤형 판매 전략 등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고 평가했다.

일본에서는 암 치료가 'DPC'(Diagnosis Procedure Combination)라는 일본식 포괄수가제에 포함되어 있다.

이 제도 하에서 의료비는 일본 정부가 결정하며, 병원은 저렴한 의약품을 처방함으로써 비용 절감과 수익 증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정부의 환급금과 환자의 본인 부담금을 줄이는 효과도 있어, 병원, 정부, 환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셀트리온 일본 법인은 이러한 우호적인 정책 환경을 바탕으로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에 주력해왔다.  

 

(사진=셀트리온)

특히 의약품 처방에 영향력이 높은 주요 의사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처방 선호도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

또한, 현지 법인과 유통 파트너사가 각각 제품을 판매하는 전략을 채택했다.

이는 각 회사의 강점을 살린 유통 채널을 통해 더욱 촘촘한 판매망을 구축하고 영업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이런 전략은 다른 제품들의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제 '베그젤마'는 2023년 11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3배 가량 증가한 2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베그젤마는 일본 시장에 가장 늦게 진출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시 1년 만에 바이오시밀러 처방 2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신세계, 면세점 하반기 흑자 전환으로 수익 개선 전망2025.09.16
동원그룹, 인재상 담은 '도전·창조·함께' CF 시리즈…”젊은 세대 응원 메시지”2025.09.15
한미약품, 멕시코에 당뇨약 공급 계약 체결...중남미 시장 공략 가속2025.09.15
티웨이항공, 신입 객실 승무원 채용...지방 노선 확대 나선다2025.09.15
크래프톤, ‘딩컴’ 닌텐도 스위치 출시 확정·사전 판매 시작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