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회사, 정부 ‘기업밸류업 프로그램’ 최대 수혜주로 급부상

김민수 / 기사승인 : 2024-02-06 18:46:29
  • -
  • +
  • 인쇄
2일 서울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호전 소식 등에 급등해 연초 수준을 회복했다. 종가는 전장보다 72.85포인트(2.87%) 오른 2

 

[알파경제=김민수 기자]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 진행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지주회사가 최대 수혜주가 될 것이란 증권가 분석이 속속 나오고 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상장사 스스로가 PBR, ROE 등 기업가치가 저평가된 이유를 분석해 대응전략을 수립하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박종렬 흥국증권 연구원은 6일 보고서를 통해 “주주환원에 적극적이고, 신성장동력 확보를 통한 성장성이 부각되는 지주회사들이 주가 재평가의 첨단으로 부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주회사는 지나친 저평가로 충분한 안전마진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주가가 기업가치보다 낮게 평가되지 않도록 주가순자산비율(PBR)을 높일 수 있게 유도한다는 게 핵심이다.

기업이 PBR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당 확대 혹은 자사주의 매입·소각을 통한 순자산(자본) 감소가 필요하다.

박 연구원은 “지난해 1월 3690원이던 SK네트웍스 주가는 같은 해 9월 7330원으로 8개월 만에 98.6% 상승했다”며 저평가 가치주가 주주환원 정책을 실시하면서 주가가 재평가된 실제 사례를 짚었다.

박종렬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지주회사의 노력에 따라 시가총액이 보유 지분가치와 커플링(동조화) 할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지주회사가 보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고 있고 회사가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할인율은 점진적으로 축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지난 1일 SK증권 최관순 연구원도 “국내 지주사의 경우 대표적인 저평가 산업으로 2023년 3·4분기 자본총계 및 1월 26일 종가 기준 PBR은 91개 지주회사 중 84개사가 PBR 1 이하”라며 “지주회사의 장기 저평가 해소를 위해서는 주주환원 강화가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며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자사주는 배당에 대한 권리가 없기 때문에 기존 주주에게 더 많은 배당 여력이 생긴다”며 “지주회사 오너의 경우 승계 과정에서 상속세가 발생해 주식담보대출을 실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관련 이자비용 및 상속세 재원으로 배당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민수 (waygo1717@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