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 묵혀둔 23조원, 정기예금·주식으로 대이동

김다나 기자 / 기사승인 : 2023-08-03 18:40:20
  • -
  • +
  • 인쇄
5대 시중은행 로고.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지난달 5대 시중은행의 요구불예금이 23조원 넘게 줄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정기예금 수신금리를 올리면서 대기성 자금이 대거 정기예금으로 옮겨간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요구불예금(MMDA 포함) 잔액은 600조 449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623조 8731억원) 대비 23조 4239억원(3.8%) 감소한 것으로 올해 들어 가장 큰 감소폭이다.

요구불예금은 예금주가 언제든지 입출금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예금상품이다. 대표적으로 보통예금, 급여통장, MMDA가 있다. 요구불예금이 줄었다는 건 투자처를 찾은 자금이 그만큼 늘었다는 의미다.

요구불예금에서 빠져나온 돈들은 최근 은행의 수신금리 인상에 따라 예적금으로 이동했다. 지난달 말 5대 은행의 예적금 잔액은 전월과 비교해 11조 8749억원 늘어난 874조 233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부터 올 3월까지 감소하던 예적금 잔액은 4월 이후 3개월 연속 늘어나 연중 최고치를 찍었다.

지난해 11월 연 4.332%로 정점을 찍은 5대 은행 평균 저축성 수신금리는 올 4월 연 3.408%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5월 연 3.583%로 상승했고 6월에는 연 3.676%까지 올랐다. 5대 은행의 주요 정기예금(12개월) 상품 최고금리도 지난 4월 초 연 3.40~3.54%에서 이날 기준으로 연 3.65~3.85%까지 상승했다.

요구불예금에서 빠져나온 일부 대기성 자금은 지난 4월 말 발생한 SG증권발 주가폭락 사태 이후 투자 불안심리가 완화되며 주식시장 등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일평균 투자자예탁금은 53조 680억원으로 6월(51조 5165억원)과 5월(50조 7762억원) 두 달째 증가세다.

한편 일각에서는 요구불예금이 빠지고 예금금리가 오르면 은행의 조달비용을 증가시켜 대출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rosa3311@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NH투자증권, 가족 계좌까지 이상거래 점검…'원스트라이크 아웃' 도입2025.11.09
'빚 수렁'에 빠진 韓 경제, 4대 금융지주 부실대출 산더미2025.11.09
FIU, '특금법 위반' 두나무에 352억원 과태료 부과2025.11.08
서울시, 지역주택조합 위반 550건 적발..조합원 피해 예방2025.11.07
전국 아파트 분양 매수심리 하락..부동산 시장 위축2025.11.07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