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적자 커지고 건전성에 ‘빨간불’

김민수 / 기사승인 : 2023-12-04 18:19:32
  • -
  • +
  • 인쇄
서울 시내 한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알파경제=김민수 기자] 저축은행업계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순손실 규모는 1413억원이다. 상반기 누적 적자(-960억원) 대비 적자 폭이 453억원 늘어났다.

앞서 손실 528억원으로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던 올해 1분기보다는 낫지만 2분기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던 각종 지표가 3분기 들어 다시 악화됐다.

79개 저축은행의 올해 3분기 연체율은 6.15%로 지난 2분기 5.33% 대비 0.8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경기 침체로 중소기업과 부동산 관련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기업 대출 연체율이 급등했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2분기 5.76%에서 3분기 7.09%로 1.33%포인트 상승했다. 연체율 증가세는 중소기업과 부동산 관련 기업들이 견인했다.

상위 5개사(SBI·웰컴·OK·페퍼·한국투자저축은행) 저축은행들도 연체율 급증에 따라 건전성 지표에 적신호가 켜졌다.

OK저축은행은 부동산 관련 연체 총액 2447억원(연체율 7.38%)으로 상위 5개 저축은행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웰컴저축은행은 부동산 관련 연체액이 1000억원대를 넘어 1137억원을 기록했고 연체율은 7.09%에 달했다.

페퍼저축은행은 부동산 관련 연체액 총액은 516억원, 연체율은 6.88%를 기록했고 한국투자저축은행은 연체 총액 1391억원, 연체율은 4.33%로 나타났다.

SBI저축은행의 부동산 관련 연체 총액은 496억원, 연체율은 2.95%로 다른 저축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79개 저축은행의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도 5.12%에서 5.40%로 0.28%포인트 올랐다.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전 분기보다 0.79%포인트 상승한 6.40%를 기록했다. 다만 BIS비율은 14.14%를 기록하며 전분기(14.15%)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유동성 비율도 139.3%로 법정 기준치를 웃돌았다.

이같이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악화하자 금융당국도 업계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에 지난달 금융감독원은 ‘은행·중소서민부문 주요 현안 기자설명회’를 열고 이달 중 연체율 관리 실태 등에 대해 저축은행업권 현장 점검을 예고하기도 했다.

 

알파경제 김민수 (waygo1717@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