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산업기술보호법 날치기(?) 논란 격화…고려아연 ‘경영권 분쟁’ 변수

차혜영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3 18:18:23
  • -
  • +
  • 인쇄
법안 발의→법사위까지 15일만에 '속전속결' 처리
"고려아연을 위한 입법이란 지적도 쏟아져"
발언하는 이철규 위원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국회에서 '위인설법' 논란이 불거졌다.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산업기술보호법) 개정안을 둘러싼 이 논란은 특정 기업, 즉 고려아연을 위한 법안이라는 의혹에서 비롯됐다.


23일 비즈니스워치 보도에 따르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는 지난달 28일 정기회 제10차 전체회의에서 산업기술보호법 개정안을 의결하고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로 송부했다.

이 개정안은 12개의 개별 발의안을 통합한 위원회 대안이다. 논란의 중심에 선 법안은 국민의힘 소속 이철규 산자위원장이 대표 발의한 개정안이다.

이 법안은 발의 후 단 15일 만에 소위원회를 통과하고 전체회의 의결을 거쳐 법사위에 상정되는 이례적인 속도로 처리됐다.

김종민 의원은 전체회의에서 "발의한 지 한 달밖에 안 된 쟁점 법안을 이렇게 빨리 통과시키는 상임위가 어디 있나"라며 졸속 처리를 강력히 비판했다.

장철민 의원 역시 "하루 이틀 더 빨리 통과시킨다고 대단한 실익이 있는 것도 아니지 않겠나"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이철규 위원장의 개정안은 산업기술보호법 제11조의2 4항을 수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24년 11월 27일자 [단독] 당정, 국가핵심기술 보호법 기습 추진..고려아연 사태 빌미 참고기사>

현행법은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의 해외 인수·합병 시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만을 검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개정안은 이를 '국가안보 및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등'으로 확대하려 한다.

김종민 의원은 이 법안이 고려아연과 영풍·MBK파트너스 간 경영권 분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위인설법'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진=연합뉴스)

고려아연은 최근 MBK가 외국인 투자자로서 M&A 자격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MBK 측은 인수 주체가 국내법인이며, 최대주주가 한국 국적자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 법안을 둘러싼 논란은 국회 내에서 계속될 전망이다. 일부 의원들은 추가적인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법안의 글로벌 스탠더드 부합 여부와 자유주의 원칙 준수 여부도 쟁점이 되고 있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주요기사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2025.09.15
[현장] 1인당 GDP 4만달러 언제쯤..."2027~2029년 전망"2025.09.14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