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섣부른 경기부양, 부동산 가격만 올린다”

김민수 / 기사승인 : 2023-11-30 18:10:46
  • -
  • +
  • 인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수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지금 상황에서 섣불리 경기를 부양하면 오히려 부동산 가격만 올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성장률과 같은 중장기 문제는 구조조정을 통해 풀어나가야지, 재정이나 통화정책으로 해결할 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서둘러 금리를 낮추거나 정부 재정을 풀어서 경기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반박한 셈이다.

그는 “내년은 고물가와 고금리로 금융 취약 계층과 저소득층, 빚을 많이 낸 사람들에게는 굉장히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성장률이 낮아서 부양하고 금리도 낮추고 하는 게 바람직하냐고 묻는다면 제 대답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려움을 겪는 계층은 재정 정책으로 타깃 해 도와줘야 한다”며 “현 단계에서는 부양책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 총재는 “현재 통화정책이 충분히 긴축적이라 이를 얼마나 오래 끌고 가느냐에 따라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긴축 기조가 6개월 이상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은행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 장기간 지속하겠다”고 밝히며 ‘7연속’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어 이 총재는 “저희는 물가상승률이 2%대까지 수렴하는 기간을 내년 말이나 2025년 초반 정도가 되지 않을까 예측한다”며 “반면 미국은 2025년 중후반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가계부채에 대해서는 “가계부채 절대액이 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을 펼치면 성장 둔화와 금융 불안 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속도 조절을 통해 천천히 줄여나가되 이번 정부가 끝날 때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얼마나 줄었는지 보고 판단하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김민수 (waygo1717@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