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상속세 개편, '부의 대물림' 반감 여전…사회적 논의 필요"

김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3-10-20 16:50:29
  • -
  • +
  • 인쇄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열린 기획재정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상속세가 높다는 지적에 "한번 개편에 관한 논의가 있어야 되는 거 아니냐 큰 틀에서는 공감 한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20일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주 의원은 "상속세가 이중과세다 아니다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에서 상속세 제도를 가지고 있다"면서도 "우리나라 상속세가 최고 세율 60%로 전 세계에서 가장 높다. 한 자리 단위의 상속세제를 가지고 있는 나라도 많다"고 말했다.

이에 추 부총리는 "'우선 상속세가 전반적으로 높다' 이 부분에 관해서 한번 개편에 관한 논의가 있어야 되는 거 아니냐 큰 틀에서는 공감을 한다"며 "논의를 진전시키다 보면 늘 벽에 부딪히는 게 결국은 아직 우리 사회에 부의 대물림에 관한 또 보편적인 세제 개편에 대한 일종의 반감 등이 여전히 한쪽에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사실은 상속세를 유산 취득세로 개편하는 부분도 논의를 좀 진행하다 결국은 국회도 그렇고 아직 우리 사회적 여건이 이 부분에 관해 받아들일 태세가 좀 덜 돼 있는 것 같다 하는 생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부분에 관해서 근본적인 용역을 지금 좀 하고 있다"며 "상속세 전반에 관한 문제보다 유산 취득세 문제가 우선 중심이이긴 한데 사회적 논의를 좀 활성화시키는 이 작업부터 먼저 좀 해야 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또 추 부총리는 중소기업의 가업 상속과 관련해 "자본과 기술이 대물림을 통해서 일자리를 만들고 우리 기업의 계속 영속성을 담보하는 것인데, 중간에 상속세 내면 기업을 계속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주요기사

李 대통령, 증권사 리서치센터장과 '코스피 5천' 논의2025.09.18
금투협·벤처기업협회·한국평가데이터, 생산적 금융 확대 '맞손'2025.09.18
토스뱅크, 전월세대출 2주년...4만 가구 4.3조 공급2025.09.18
신한은행, 가상자산 전용 페이지 확대 오픈...코빗 연동 시세 확인2025.09.18
민생회복 소비쿠폰, 영세 중소가맹점 매출 증가 효과 뚜렷2025.09.18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