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태원 회장이 지난 2일(현지시간) 뉴저지에 위치한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본사를 찾아 바이오 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SK그룹)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미국 출장 중 반도체 소재와 바이오 등 그룹의 미래사업 현장 점검에 나섰다.
7일 SK그룹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달 22일(현지시간)부터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인텔 최고경영자(CEO)들과 연쇄 회동 후 SK 현지 법인들을 방문했다.
최 회장은 2일 뉴저지주 SK바이오팜의 미국 법인 SK라이프사이언스 본사를 찾아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직판 현황을 점검했다.
SK그룹 측은 세노바메이트가 최근 총 처방 환자 수 10만 명을 돌파하며 뇌전증 영역에서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최근 미국의 생물보안법 추진이 국가안보 정책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대응 방안을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생물보안법은 중국 바이오 기업의 미국 내 사업 제한을 골자로 한다.
![]() |
최태원 회장(가운데)이 지난3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커빙턴시에 위치한 앱솔릭스에서 구성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 |
최 회장은 다음날 조지아주 커빙턴시의 앱솔릭스를 방문해 세계 최초 글라스 기판 양산 공장을 둘러봤다. 앱솔릭스는 SKC 가 고성능 컴퓨팅용 반도체 글라스 기판 사업을 위해 2021년 설립한 자회사다.
글라스 기판은 AI 반도체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는 가운데 반도체 패키지의 데이터 속도와 전력 소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세계 최초 상용화를 앞둔 글라스 기판은 하반기 중 고객사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HBM 등 AI 반도체의 급격한 성장에 힘입어 고순도 유리 기판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최 회장도 이번 출장에서 만난 빅테크 CEO들에게 글라스 기판의 기술 경쟁력을 직접 소개했다.
최 회장은 지난달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SK그룹 경영전략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지금 미국에서는 AI 말고는 할 얘기가 없다고 할 정도로 AI 관련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며 'AI 밸류체인 리더십' 강화를 계열사 경영진에 강조했다.
SK 관계자는 "최 회장의 출장 결과를 토대로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계열사가 빅테크 파트너사들과 SK AI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후속 논의 및 사업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