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실질금리 0.11%…3년 만에 플러스 전환

여세린 / 기사승인 : 2024-02-01 16:02:26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여세린 기자] 지난해 고물가 상황이 이어진 가운데 실질금리가 플러스로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금리가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3년 만이다.

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지난해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 가중평균 금리)는 연간 3.71%였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저금리 기조가 강화되기 직전의 금리가 반영된 2008년(5.71%)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는 실질금리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대표적인 명목금리 중 하나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저축성 수신금리에서 소비자 물가상승률(3.6%)을 뺀 실질금리는 0.11%로 집계됐다.

앞서 지난 2021년(-1.42%)과 2022년(-2.33%)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지난해 플러스로 전환한 것이다.

올해 실질금리도 지난해에 이어 플러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축성 수신금리가 3%대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물가상승률이 2%대로 안착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11일 기자간담회에서 사견을 전제로 "적어도 6개월 이상은 기준금리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기준금리가 현 3.5%로 유지된다면 시중 금리도 단기간에 낮아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풀이된다.

금리 인상의 영향 가운데 물가상승률은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지난해 12월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4년 연말로 갈수록 2% 부근에 근접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원영진 한은 과장은 알파경제에 "금리 전망은 어렵지만 한은의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반영한다면 올해 실질금리 전망을 플러스로 계산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은은 올해 상반기와 하반기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각 3.0%와 2.3%를 제시한 상태다. 

 

알파경제 여세린 (seliny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