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외환거래액 사상 최대 기록...수출입·파생상품거래 증가 영향

임유진 / 기사승인 : 2023-01-27 13:53:05
  • -
  • +
  • 인쇄

 

화폐. 사진= 연합뉴스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지난해 외환거래액이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수출입 규모가 커지고 환율 변동성 확대로 외환파생상품 거래가 늘면서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환은행의 1일 평균 외환거래(현물환·외환파생상품 거래) 규모는 623억8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583억1000만달러) 대비 7%(40억8000만달러) 증가한 것이다.

이는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연중 일평균으로는 가장 큰 규모다.

 

화폐. 사진= 연합뉴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 수출입 규모가 증가한데다 환율 변동성 확대로 외환파생상품 거래가 늘었다"면서 "다만 하반기에는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 및 수출입 규모가 줄면서 외환거래 역시 상반기에 비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환율 변동성은 지난 2021년 0.32%에서 지난해 0.50%로 높아졌다. 특히 상반기(0.41%)에 비해 하반기(0.58%) 변동 폭이 컸다.

환율 변동성이란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의 전일 대비 일평균 변동률을 뜻한다.

지난해 환율 변동성은 2016년(0.51%)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 수출입 규모는 1조4150억달러로 전년(1조2595억달러) 보다 12% 늘어났다.

상품별로는 지난해 1일 평균 현물환 거래가 231억3000만달러로 전년보다 1.8%(4억2000만달러) 늘어났고, 외환파생상품 거래는 10.3%(36억6000만달러) 급증한 392억5000만달러였다.

외국환은행 가운데 국내은행의 외환거래액이 266억4000만달러로 2.6%(6억7000만달러), 외은지점 거래규모는 357억4000만달러로 10.5%(34억1000만달러) 각각 늘어났다.

알파경제 임유진 (lyjin0305@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KDI, 韓 경제 회복세 진단 속 ‘수출·건설투자’ 리스크 여전2025.11.10
KB·신한, 생산적 금융 전환 동참…5년간 각 110조 투입2025.11.10
[분석] 숨고르기 국면..변동성 활용한 점진적 분할 매수2025.11.10
[개장] 뉴욕증시, AI 거품 우려 속 美 셧다운 협상 주목2025.11.10
NH투자증권, 가족 계좌까지 이상거래 점검…'원스트라이크 아웃' 도입2025.11.09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