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티즈 유상증자 발표..전방산업 성장 수혜 증명

박남숙 기자 / 기사승인 : 2025-08-29 10:33:39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로보티즈(108490)의 유상증자 발표가 전방산업 성장의 수혜를 증명하는 증설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28일 로보티즈는 공시를 통해 1천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계획을 발표했다. 예정 발행가는 전일 종가 대비 21% 낮은 7만4100원으로 책정됐다.

메리츠증권에 따르면, 조달된 자금의 목적별 분류는 시설자금 600억 원, 운영자금 400억 원이다.


시설자금 600억 원 중 약 80%는 우즈베키스탄 현지 생산시설 인수 및 신규 공장 건설에 사용될 예정이며 나머지 금액은 데이터 팩토리 구축, 정밀가공 및 모터 생산 시설 확충, 기타 로봇관련 부품/완제품 생산에 사용될 예정이다.


운영자금 400억 원은 QDD(Quasi Direct Drive)방식의 액츄에이터 및 자체 생산 신규 모터 연구개발, 데이터 팩토리 및 가공 운영비로 사용된다.

이지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이번 증자의 주요 목적은 전방 산업 호조에 따른 액츄에이터 생산 Capa 추가 확보 및 부품 내재화율을 추가적으로 높여 중국 기업들의 저가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현재 마곡 소재의 제조시설만으로는 내년을 기점으로 풀 Capa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메리츠증권)

 

연평균 15% 이상의 매출액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증설이 필수적인 상황으로, 증설의 효과가 2027년 상반기부터 확인되는 점 감안 시 증설 결정 시기는 적절하다는 판단이다.

 

또한 부품에서 완제품, 데이터 수집으로 확장하는 과정이 매우 긍정적이란 평가다. 

 

이지호 연구원은 "양팔로봇(AI Worker) 및 협동로봇+가이드암(AI Manipulator + Leader Arm)
은 Open AI향 납품이 논의될 정도로 물리 데이터 수집 플랫폼으로 활용 기대감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를 자체적으로 배치하여 자체적인 Physical AI 역량 확보 및 중장기 물리 데이터를 수집/가공/판매 역량 갖추는 점이 긍정적이란 평가다.

 

이 연구원은 "로보티즈의 높아진 시장 지위를 고려 시 유상증자보다 SI, FI를 유치하는 방식이 효율적이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지만 그간 SI와의 시너지 효과 부재 및 FI 유치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 시 빠른 증설 돌입을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다만 훼손된 투자심리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중국과 고강도 경쟁 구도 속에서도 꾸준한 액츄에이터 출하량 성장 증명 및 신제품(AI Worker, AI Manipulator) 수출 성과 증명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동원그룹, 인재상 담은 '도전·창조·함께' CF 시리즈…”젊은 세대 응원 메시지”2025.09.15
한미약품, 멕시코에 당뇨약 공급 계약 체결...중남미 시장 공략 가속2025.09.15
티웨이항공, 신입 객실 승무원 채용...지방 노선 확대 나선다2025.09.15
크래프톤, ‘딩컴’ 닌텐도 스위치 출시 확정·사전 판매 시작2025.09.15
대한항공 3분기 영업익 예상치 하회 전망..여름 성수기 효과 '미미'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