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셀트리온, 램시마SC 확대에 유플라이마 기대감까지

김우림 / 기사승인 : 2023-05-09 10:12:16
  • -
  • +
  • 인쇄
◇1분기 영업이익 1823억…전년 대비 41% 증가
◇램시마SC 대체 및 미국 직접판매로 수익성 개선
◇5월 말 미국 유플라이마 승인 결정 등 기대 요인
(사진=셀트리온제약)

 

[알파경제=김우림 기자] 셀트리온이 양호한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고수익 품목인 램시마SC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전체 매출에서 바이오시밀러 비중이 높아지면서다.


여기에 유플라이마 허가 등 추가 시밀러 품목 허가가 예정되어 있어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셀트리온 램시마. (사진=연합뉴스)


◇ 1분기 영업이익 1823억…전년 대비 41% 증가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한 5975억원, 영업이익은 41% 증가한 1823억원을 기록했다.

컨센서스 매출액 5987억원, 영업이익 1909억원에 부합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진단키트 매출 부재에도 바이오시밀러 매출이 탑라인의 성장을 견인했다.

특히 이번 분기에 실적 성장을 견인한 품목은 램시마SC다. 램시마SC의 1분기 매출액은 1613억원으로, 2020년 4분기 이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램시마SC의 유럽 매출 호조가 요인"이라며 "영업이익률은 제품 믹스 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해서는 상승하면서 진단키트 변동대가를 제외한 영업이익률은 40% 수준으로 품목 믹스 개선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출처=하나증권

 

◇ 램시마SC 대체 및 미국 직접판매로 수익성 개선

올해에는 견조한 램시마IV, 트룩시마 등 기존 제품 매출액에 더불어 램시마SC, 유플라이마 등 북미 신제품이 매출액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다.

램시마SC는 작년 4분기 기준 유럽 주요 5개국에서 16.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미국에서는 신약으로 허가 절차를 밟고 있어 올해 하반기 허가 획득이 예상된다.

박재경 연구원은 "램시마SC의 유럽 매출액이 궤도에 올라오며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본격적인 재고 소진이 이뤄지며, 올해 4분기에는 램시마SC의 북미 승인이 예상됨에 따라 램시마SC의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연간 램시마SC 비중이 확대될 것"이라며 "램시마IV 대비 약가가 약 2배인 램시마SC로의 대체는 매출, 이익의 핵심이며 시밀러 산업에서 약가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출처=하나증권

◇ 5월 말 미국 유플라이마 승인 결정 등 기대요인

이번달에는 유플라이마에 대해 미국 FDA의 승인이 기대된다.

DP CMO 시설에 대한 FDA 실사에서 VAI 등급 판정을 받으면서 유플라이마의 승인 가능성은 높아진 상황이다.

또 셀트리온은 2025년까지 11개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을 확보할 예정이다.

지난 4월 말 졸레어 바이오시밀러의 유럽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고,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와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허가도 준비 중이다.

신규 파이프라인 오크레부스 바이오시밀러는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했고,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와 악템라 바이오시밀러 등도 현재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유플라이마와 램시마SC 허가 외에도 올해 스텔라라, 아일리아, 졸레어 등 총 5개의 시밀러 품목 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며 최근 오크레부스 시밀러의 임상3상 IND를 신청하며 후속 시밀러 파이프라인을 추가했다"며 "다수의 신제품 출시로 기존 시밀러 가격 경쟁으로 인한 이익율 하락을 방어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동건 SK증권 연구원은 "5월 말 유플라이마 FDA 허가까지 이어지는 만큼 반등을 위한 모멘텀은 한 달간 지속될 전망"이라며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의 근거가 된 램시마SC는 올해 4분기 미국 허가까지 예정된 만큼 미국 출시를 전후로 셀트리온의 램시마SC 매출 호조는 이어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우림 (anarim89@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2025.09.16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