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장] 뉴욕증시, 파월의 매파 발언 소화하며 상승..마이크론 2.5%↑

박남숙 기자 / 기사승인 : 2023-08-29 07:07:55
  • -
  • +
  • 인쇄
(출처=finviz)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 뉴욕증시는 시장의 핵심 이벤트였던 잭슨홀 컨퍼런스에서의 제롬 파월 연준의장의 매파적인 발언을 소화하며 상승을 지속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62% 오른 3만4559.98로 거래를 마쳤고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63% 상승한 4433.31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84% 뛴 1만3705.13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일부 제약주를 제외하고 대부분 업종이 강세를 보이는 등 투자심리는 견고했는데요. 투자자들은 이제 이번 주 후반 나올 연방준비제도(Fed)가 선호하는 물가 지표와 고용 보고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종목별로는 미국과 중국 양국 상무장관 회담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일부 반도체 종목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마이크론이 2.5% 상승한 가운데 엔비디아도 1.7% 뛰었습니다.

이밖에 메타와 애플, 알파벳 등이 1% 가량 올랐고 테슬라도 0.09% 소폭 상승하는 등 빅테크주도 대부분 올랐습니다.

3M의 주가는 귀마개 결함 관련 집단 소송에서 55억 달러가 넘는 보상금에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5% 뛰었고, 샤오펑은 디디의 전기차 사업부 인수 발표로 5% 급등했습니다.

◇ 유럽 주요국 증시는 한 달 만에 최고치 수준으로 오르며 상승했습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전날보다 1.32% 오른 7324.71에,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도 1.03% 상승한 1만5792.61에 장을 마쳤습니다. 영국증시는 공휴일로 이날 휴장했습니다.

지난주 관심을 모았던 잭슨홀 미팅에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발언이 매파적이었음에도 예상에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는 점에 투자자들은 안도했습니다. 시장의 관심은 이제 이번 주 나올 미국의 고용과 물가 등 연준이 주시하는 경제 데이터로 쏠리고 있습니다.

종목 가운데 중국에 대한 익스포저가 큰 명품 관련주인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에르메스의 주가가 각 1% 넘게 오르며 지수 상승에 힘을 보탰습니다.

◇ 아시아증시도 확인하겠습니다. 28일 아시아증시는 중국 당국의 증시 부양책 소식 등으로 대부분 상승했습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13% 오른 3098.64에 마감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당국의 자본시장 활성화 대책에 힘입어 상승했는데요.

지난주 중국 정부가 주식시장 활성화를 위해 주식거래 인지세를 15년 만에 인하한 영향에 증시가 오름세를 탔습니다. 재정부는 28일부터 인지세를 기존 0.1%에서 0.05%로 절반 인하한다고 밝혔습니다. 증권감독관리위원회도 별도의 성명에서 기업공개(IPO) 속도를 늦추고, 대주주의 지분 축소를 추가로 규제하며, 증거금을 낮출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전날보다 1.73% 오른 3만2169.99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는 완화 정책을 당분간 유지한다는 방침을 재차 확인해 증시 상승에 힘을 보탰는데요.

우에다 총재는 잭슨홀 패널 토론에서 "일본의 기조 인플레이션이 아직 목표치인 2%보다 다소 낮다"며 "이것이 BOJ가 현재의 금융완화 정책을 고수하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홍콩 항셍 지수는 전날보다 0.96% 오른 1만8128.98에, 대만 가권지수는 0.17% 오른 1만6509.26에 장을 마쳤습니다.

◇ 오늘의 주요 일정도 보겠습니다. 국내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이 발표되고요.

기획재정부는 내년 국세수입 예산안을 발표합니다.

미국에서는 8월 소비자신뢰지수가 발표되고요. 기업 중 베스트바이와 휴렛팩커드(HP)의 실적 발표 대기 중입니다.

◇ 오늘의 전망과 투자전략도 확인하시죠. 뉴욕증시는 미국과 중국의 갈등 완화 기대와 잭슨홀 컨퍼런스 이슈를 소화하며 상승했습니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특히 미-중 상무장관 회담 등 최근 미국 주요 인사들의 중국 방문으로 미-중 갈등 봉합 기대가 높아진 점은 우호적"이라며 "그렇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 우려는 여전히 시장에 부담"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전일 중국 정부가 증시 부양정책을 발표하며 중국 증시가 5% 넘게 상승 출발 후 매물 출회되며 결국 1.1% 상승으로 마감했기 때문이란 설명인데요. 

 

서상영 연구원은 "결국 한국 증시는 전일 중국 증시의 상승 축소 영향과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부담으로 작용한 가운데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가 충돌하며 소폭 상승 출발 후 개별 종목별 이슈에 따라 변화하는 종목 장세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최유준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불확실성 해소 후 증시가 반등했지만 지난주와 분위기는 다르다"며 "견조했던 반도체와 헬스케어가 반락하고 소외됐던 민감,가치주 중심으로 반등했다"고 분석했습니다.

반등이 강했던 업종은 8월 수급에서 소외됐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어제의 색깔 변화는 수급 갭 메우기 성격이란 설명인데요.

최유준 연구원은 "수급에 있어 수동적인 성격이 강하게 나타났다"며 "색깔 변화의 지속성은 금리 상황과 미국 기술주 주가가 결정할 것으로 보는데 이번 주 금요일 미국 8월 고용지표를 통해 변곡점 여부를 확인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빚 수렁'에 빠진 韓 경제, 4대 금융지주 부실대출 산더미2025.11.09
FIU, '특금법 위반' 두나무에 352억원 과태료 부과2025.11.08
서울시, 지역주택조합 위반 550건 적발..조합원 피해 예방2025.11.07
전국 아파트 분양 매수심리 하락..부동산 시장 위축2025.11.07
연이은 규제, 부동산 정책 영향과 향후 대책 [부동산 정책 브리핑:복테크] 알파경제 tv2025.11.07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