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퍼은행·하나증권까지 저축은행 신용등급 줄줄이 강등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4-04-17 18:22:16
  • -
  • +
  • 인쇄
시내 한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신용평가사들이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을 잇달아 강등하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자산순위 6위 페퍼저축은행은 지난 15일 나이스신용평가사에서 ‘BBB-(부정적)’ 신용등급을 받았다.

기존 신용등급 ‘BBB(부정적)’에서 하향 조정된 것이다.

나이스신용평가사는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자본 조달비용이 늘고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 점, 경기 회복이 지연돼 자산건전성이 악화된 점을 강등 이유로 밝혔다.

나신평은 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면서 등급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향후 추가 강등 가능성을 열어둔 셈이다.

호주계 저축은행은 페퍼저축은행은 지난해 107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조달비용 및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된 영향이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마이너스(-)2%다.

나신평은 “최근 조달금리가 하향 안정화되고 순이자마진이 회복되고 있다”며 “하지만 고금리 수준이 지속되는 가운데 개인 및 개인사업자 차주의 건전성 저하 가능성은 남아 있어 수익성에 부담요인”이라고 진단했다.

나신평은 같은 날 하나증권의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

하나증권은 지난해 318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전년 1558억원 순이익을 거뒀다가 적자 전환한 것이다.

국내외 대체투자 관련 손상 인식 및 충당금 전입에 영향이 컸다.

하나증권 등급전망은 차액결제거래(CFD)를 비롯한 고객 손실 보상 등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발목을 잡았다.

투자은행(IB)부문 시장점유율이 절반 이하로 꺾인 것(10.1%→5.3%)도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기업평가(한기평) 역시 금융권 등급을 줄줄이 내리고 있다.

중소 저축은행인 바로저축은행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내렸다.

토지매입 등 사업초기 소요되는 단기 차입금인 브릿지론 부실화가 본격화되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바로저축은행의 작년 말 PF 위험 노출액은 7153억원으로 총대출의 48%, 자기자본 대비 320%에 달한다.

한기평은 JT친애저축에 대해서도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로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