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났던 금융지주 외국인투자자 "밸류업·더블배당 기대에 돌아왔다"

여세린 / 기사승인 : 2024-03-11 17:54:38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여세린 기자] 지난해 금융지주를 떠났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밸류업’ 바람을 타고 돌아왔다.


금융주 저평가 원인 중 하나인 정부의 ‘규제 리스크’로 지난해 4대 금융지주의 주식을 매도하며 주가 하락을 주도했던 외국인투자자가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으로 금융지주의 지분율을 높이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의 외국인 비율은 11일 기준 75.3%로, 지난해 말 71.97%에서 3.3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금융지주의 외국인 지분율은 같은 기간 37.9%에서 40.57%로 2.67%포인트 늘었다.


외국인 투자자의 하나금융지주 지분율은 68.55%에서 1.68%포인트 늘어난 70.23%로 집계됐고, 신한지주 역시 외국인 비율이 1.11%포인트 증가해 61.28%를 기록했다.


외국인 투자자의 유입으로 같은 기간 금융지주의 주가는 상승세를 탔다.


KB금융의 주가는 11일 기준 7만700원으로 지난해 말 5만4100원에서 무려 31% 급증했다.


하나금융지주 주가는 4만3400원에서 5만9500원으로, 신한지주는 4만150원에서 4만5700원, 우리금융지주도 1만3000원에서 1만4250원으로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상승세는 대표적인 저PBR(주가순자산비율)주로 꼽히는 금융주가 정부 밸류업 프로그램의 수혜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 영향으로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면서 외국인들이 장바구니에 적극 담은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결산배당과 분기배당을 함께 받을 수 있는 ‘더블 배당’의 기회도 외국인을 끌어들였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일본에서 PBR 개선 대책이 나오고 일본 금융주가 많이 오른 것처럼 국내 밸류업 프로그램 실시에 대한 기대감, 주주환원에 대한 가능성으로 외국인 매수는 더 들어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해 말 정부의 ‘규제 리스크’가 금융지주사의 발목을 잡으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금융지주사 주식 비율을 줄여왔다.


여전히 규제 리스크가 자리하고 있지만 당장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전망된다.


최 연구원은 “규제 리스크가 불거질 수도 있지만 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밸류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가 더 크다는 것”이라면서 “앞으로 밸류업 프로그램과 관련한 정부의 세제 혜택 내용 등에 따라 움직일 금융주를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여세린 (seliny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