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에 환차익 기대 예금 5천억 급증...달러예금은 감소세

여세린 / 기사승인 : 2024-03-14 17:35:21
  • -
  • +
  • 인쇄
(사진= 연합뉴스)

 

[알파경제=여세린 기자] ‘엔저 현상’ 지속에 환차익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요 은행의 엔화예금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엔화예금 잔액은 1조2129억 엔으로 한 달 만에 555억 엔(5000억원), 4.8% 올랐다.


엔화 예금 잔액은 올해 들어 두 달 동안 800억 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엔화 환율이 800원대로 떨어지면서 증가했던 엔화예금은 지난해 말 900원대로 오르자 감소세로 전환한 바 있다.


올해 다시 800원대로 떨어지면서 투자 매력이 커지자 저가 매수세가 몰린 것이다.


게다가 일본은행(BOJ)이 3~4월 중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엔화 강세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이다.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 끝나며 엔화가 강세를 보이면 엔화 예금 가입자들은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형중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미 대선 등으로 외환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 높은 변동성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반대로 달러예금에서는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5대 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달러예금 잔액은 578억3000만 달러로, 전월보다 15억2500만 달러(약 2조 원) 줄었다.


원달러 환율은 14일 1317.6원으로 마감하며 지난달 1350원 가까이 올랐던 것과 비교된다.


시장에서 미 연준이 6월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달러화 가치가 약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역대 최고 수준까지 치솟고 있는 금 가격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미 달러 약세화에 대해서도 과도한 기대는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을 내놓았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첫 기준금리 인하 후 인하 속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고 미 대선 이슈가 미·중 갈등, 무역 및 환율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달러예금 감소가 추세적인 현상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여세린 (seliny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