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뱅만 중저신용대출 목표달성... 케이·토스 미달

여세린 / 기사승인 : 2024-02-23 17:38:37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여세린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3사 중 카카오뱅크만 지난해 말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치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스뱅크의 중저신용대출 비중은 목표치에 가장 크게 미치지 못했다.


23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비중(잔액 기준)은 카카오뱅크 30.4%, 케이뱅크 29.1%, 토스뱅크 31.5%로 각각 집계됐다.


정부가 제시한 목표치는 카카오뱅크 30%, 케이뱅크 32%, 토스뱅크 44%로, 카카오뱅크가 유일하게 목표를 달성했다.


케이뱅크는 목표치보다 2.9%포인트 부족했고 토스뱅크는 무려 12.5%포인트 부족했다.


우선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기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잔액은 4조3000억 원이다.


2020년 말 1조4000억 원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비중도 10.2%에서 30.4%로 매년 꾸준히 늘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자에 대한 신용대출 비중을 높이면서도 건전성 지표를 안정적 수준으로 유지해온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카카오뱅크의 총여신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0.58%에서 4분기 0.49%로, 0.09%포인트 개선됐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 달성과 건전성 확보 모두 가능했던 것은 데이터 기반의 신용평가모형 고도화와 탁월한 리스크 역량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토스뱅크의 지난해 말 중저신용자 대출 잔액은 3조700억 원이다.


지난해 3월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42.06%로 목표치에 근접했지만 이후 꾸준히 하락해 31.5%를 기록했다.


다른 인터넷은행과 달리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지 않는 토스뱅크는 건전성 관리가 어려운 만큼 부실 가능성이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는데 부담이 따랐다는 분석이다.


토스뱅크는 "코로나19와 고금리 기조, 글로벌 은행 파산 등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건전성과 포용성이라는 양립하기 어려운 가치를 지켜가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인터넷은행 3사에 2023년 말까지 전체 신용대출 중 일정 비율 이상을 중저신용자 대출로 채우라는 규제를 신설한 바 있다.


이어 올해부터 2026년까지 중저신용대출 공급 목표를 '평균잔액의 30%'로 통일하는 새 규제안을 내놓았다.

 

알파경제 여세린 (selinyo@alphabiz.co.kr)

주요기사

[개장] 뉴욕증시 혼조, 연준 금리인하에 '널뛰기'..엔비디아 2%↓2025.09.18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