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1분기 경제성장률, 27개월 만에 최고 외 25일 주요뉴스 써머리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5 16:39:23
  • -
  • +
  • 인쇄
부산항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 1분기 경제 성장률 1.3%… 2년 3개월 만에 최고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1.3%로 집계됐다. 2021년 4분기(1.4%)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 기재부 “1분기 성장률, 성장경로에 선명한 청신호”

기획재정부가 “재정에 의존한 성장이 아닌 ‘민간 주도 성장’의 모습”이라며 “1분기 성장률은 우리 경제의 성장경로에 선명한 청신호”라고 평가했다.

◇ “불법공매도 원천 차단”… 금감원, 이중검증 시스템 구축

금융감독원이 불법 공매도 방지 전산 시스템 구축방안을 대중에 공개했다. 이중 검증 시스템으로 모든 주문을 재검증하는 게 골자다.

◇ 산은 회장 “스타트업에 올해 1조6천억원 이상 투자”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이 현재 스타트업 생태계를 높은 금리 등으로 투자가 부진한 “빙하기”라며 “올해 우리나라 스타트업에 1조 6천억원 이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 금융당국, ‘중고차대출사기’ 막을 여전사 가이드라인 시행

중고차 담보 대출 사기를 막기 위해 금융당국이 카드·캐피탈 업권의 중고차금융 영업관행 개선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여전사 내부통제기준을 ‘표준내부통제기준’ 등 4가지 모범규준으로 정비했다.

 

25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코스피, 외인 매도 확대에 1.76% 하락

코스피가 기관과 외국인 매도세 지수가 전 거래일(2675.75) 대비 1.76%(47.13포인트) 하락한 2628.62로 거래를 마쳤다. 하락 출발한 뒤 오후 들어 매도세가 짙어지며 2620선까지 미끄러졌다.

◇ 이복현 “금투세 유예는 비겁한 결정”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한 과세 유예 방안과 관련 “금투세 폐지에 대한 정부 입장은 변함이 없다”며 “(금투세 유예는) 비겁한 결정이 아닌가 싶다”고 입장을 밝혔다.

◇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 5조원

올해 1분기 파생결합사채(DLB)를 포함한 파생결합증권(DLS) 발행 금액이 4조 961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4.6%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42.1% 증가한 수치다.

◇ 통상교섭본부장, 이집트 수에즈운하청장과 물류협력 논의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전 세계 물동량의 약 12%를 차지하는 해상 물류 요충지인 수에즈운하를 관리하는 이집트 수에즈운하청장을 만나 물류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 공정위, 쿠팡 ‘하도급업체 판촉비 전가 의혹’ 조사

쿠팡이 일부 실적이 저조한 자체 브랜드(PB) 상품의 할인 행사를 진행하면서 하도급 업체에 판촉비용을 떠넘겼다는 의혹으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 20∼30대 10명 중 4명 “주거비 가장 부담”

20∼30대 청년 154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월 소비 항목 중 가장 부담되는 지출 항목으로 전체 응답자의 40.2%가 ‘주거비’를 지목했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 1기신도시 선도지구, 주택수 최대 10%까지 지정

정부가 1기 신도시 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에서 지역별로 주택 수(주택 재고)의 5∼10%를 선도지구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기 신도시별로 최소 2개에서 많으면 5∼6개의 선도지구가 지정될 수 있다.

◇ 2월 전국 아파트 미분양 6만 4874가구

지난 2월 기준 전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6만 4874가구로 지난해 12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이 작년 12월 대비 2292가구가 늘었다.

◇ 세종 아파트 무순위 청약에 24만여명 몰려

6년 전 분양가로 나온 ‘세종 한신더휴 리저브2(행정중심복합도시 1-5생활권 H5블록)’ 전용면적 84㎡ 1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을 실시한 결과 총 24만 7718명이 지원했다.

◇ 자살률 줄었지만 여전히 OECD 회원국 중 1위

우리나라 2022년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5.2명으로 1년 전보다 0.8명(3.2%) 감소했다. 하지만 2020년 연령표준화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4.1명으로 1위다. OECD 평균(10.7명)의 2배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