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만기 20조' 유치 나선 은행

여세린 / 기사승인 : 2024-02-20 16:06:04
  • -
  • +
  • 인쇄
청년희망적금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여세린 기자] 20조 원 규모의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오면서 200만 명의 예금자를 유치하기 위한 은행의 움직임이 바빠지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2년 만기 상품으로 출시된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289만 명 중 30%에 달하는 86만 명이 중도 해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오는 21일부터 도래하는 만기 예정자에게 정부와 금융당국은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 안내를 보내고 있지만 이달 초까지 청년희망적금-청년도약계좌 연계율은 13%에 그쳤다.


청년도약계좌는 연 4.5% 기본 금리에 정부 지원금을 더하면 실질금리가 연 8∼10%대 수준으로 높다.


하지만 5년이라는 긴 납입 기간에 부담을 느낀 청년층이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주저하며 연계율이 저조하게 나타난 것이다.


이에 은행들은 짧은 만기 상품으로 청년 고객 확보에 나섰다.


하나은행은 만 35세 이하 청년에게 연 1.3% 우대금리를 더해 최대 연 5.85%의 이자율을 적용하는1년 만기의 ‘급여하나 월 복리 적금’을 제공한다.


KB국민은행은 단기 적금에 지급하는 이자율을 확대했다.


6개월 동안 월 30만 원씩 납부할 수 있는 ‘KB 특별한 적금’은 최대 연6%의 이자를 지급하고 1인당 가입 가능 계좌도 3개까지 늘렸다.


우리은행도 짧으면 31일에서 최대 200일 동안 가입할 수 있는 ‘n일 적금’을 통해 최고 연 6% 이자를 준다.


신한은행은 총 납입 회차의 80~90%만 달성해도 우대 이자율을 제공해 연 최대 4.5%의 이자를 제공하는 ‘한 달부터 적금’을 운영한다.


20조 원 규모의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는 은행이 예수금을 모을 수 있는 기회로 풀이된다.


은행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지 않는 청년층의 관심을 끌기 위해 납입기간을 줄이고 우대금리를 더하는 등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여세린 (seliny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