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10·15 부동산 규제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값이 소폭 상승하며 상승폭이 커졌다. 
3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0월 마지막주(27~31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25% 오르며 전주의 0.07% 대비 상승세가 다시 확대됐다. 서울은 0.42% 올라 전주의 0.08%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경기·인천과 수도권이 각각 0.15%, 0.30% 올랐고, 5대광역시가 0.10% 상승했지만 기타지방은 0.01% 떨어졌다. 전국 17개 시도 중 상승 8곳, 하락 9곳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상승폭을 키운 가운데, 수요와 매물의 잠김 현상이 동반되고 있다.
지난 10월 15일 대비 현재(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도 매물은 13% 감소해 전국 17개 시도 중 감소폭이 가장 크다. 일부 지역만 규제 대상에 포함된 경기 일대 매도 매물도 같은 시기 5% 줄며 차순위로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11% 상승했다. 서울이 0.18%, 수도권 0.13%, 경기·인천 0.09%, 5대광역시 0.05%, 기타지방 0.04% 올라 전국 주요 권역 모두에서 상승 흐름이 이어졌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이번 부동산 정책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포함한 삼중규제가 덧대 지면서 매매는 물론 임대차 시장에서의 매물 잠김 현상도 추가된 상황"이라며 "이미 규제지역의 총합이었던 강남3구와 용산구를 기준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효과를 분석해 볼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선호지역에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은 거래량 위축 효과는 분명하나, 매도자와 매수자를 모두 줄이는 현상으로 인해 목표했던 가격 안정 효과는 희석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지적이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