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퍼은행·하나증권까지 저축은행 신용등급 줄줄이 강등

영상제작국 / 기사승인 : 2024-04-18 14:47:06
  • -
  • +
  • 인쇄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신용평가사들이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을 잇달아 강등하고 있습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자산순위 6위 페퍼저축은행은 지난 15일 나이스신용평가사에서 ‘BBB-(부정적)’ 신용등급을 받았습니다.

기존 신용등급 ‘BBB(부정적)’에서 하향 조정된 것입니다.

나이스신용평가사는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자본 조달비용이 늘고 수익성이 크게 떨어진 점, 경기 회복이 지연돼 자산건전성이 악화된 점을 강등 이유로 밝혔습니다.

나신평은 신용등급을 한 단계 하향 조정하면서 등급전망을 부정적으로 제시했습니다. 향후 추가 강등 가능성을 열어둔 셈입니다.

호주계 저축은행은 페퍼저축은행은 지난해 1072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조달비용 및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악화된 영향입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마이너스(-)2%입니다.

나신평은 “최근 조달금리가 하향 안정화되고 순이자마진이 회복되고 있다”며 “하지만 고금리 수준이 지속되는 가운데 개인 및 개인사업자 차주의 건전성 저하 가능성은 남아 있어 수익성에 부담요인”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나신평은 같은 날 하나증권의 신용등급 전망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습니다.

하나증권은 지난해 318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습니다. 전년 1558억원 순이익을 거뒀다가 적자 전환한 것입니다.

국내외 대체투자 관련 손상 인식 및 충당금 전입에 영향이 컸습니다.

하나증권 등급전망은 차액결제거래(CFD)를 비롯한 고객 손실 보상 등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투자은행(IB)부문 시장점유율이 절반 이하로 꺾인 것(10.1%→5.3%)도 원인으로 꼽힙니다.

한국기업평가(한기평) 역시 금융권 등급을 줄줄이 내리고 있습니다.

중소 저축은행인 바로저축은행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내렸습니다.

토지매입 등 사업초기 소요되는 단기 차입금인 브릿지론 부실화가 본격화되면서 건전성 관리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바로저축은행의 작년 말 PF 위험 노출액은 7153억원으로 총대출의 48%, 자기자본 대비 320%에 달합니다.

한기평은 JT친애저축에 대해서도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로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됐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IB임원 수십억 부당거래' NH투자증권, 임원들 국내주식 매수 전면 금지 추진 : 알파경제TV2025.11.04
최태원 "샘 올트먼, HBM 월 90만장 요청…AI 수요 폭발 반증" : 알파경제TV2025.11.04
트럼프 "엔비디아(NVDA.O) 최첨단 블랙웰 칩, 미국 기업만" : 알파경제TV2025.11.04
동네 선후배에 3억 불법 대출…새마을금고 임원들 집유 : 알파경제TV2025.11.04
농협은행, 3분기 순익은 줄었는데 '농지비'는 20% 가까이 늘어 : 알파경제TV2025.11.0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