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이사 충실의무 주주로 확대하고 특별배임죄 폐지 주장

김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6-14 14:36:25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삼라만상을 다 처벌 대상으로 삼는 배임죄는 유지보다는 폐지가 낫다”고 언급했다.

이 원장은 14일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상법 개정 이슈 관련 브리핑’에서 이 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의 저평가)의 원인 중 하나인 상법상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 확대하고 특별배임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원장은 국내 상법과 형법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상법은 지배주주 외 소액주주 등에 대한 보호가 미흡하고 형법에서는 배임죄 등으로 과도한 형사 처벌을 하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 이원장은 소액주주 보호 장치를 마련하고, 배임죄 처벌 기준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과제라고 강조했다.

만약 현실적으로 배임죄 폐지가 어렵다면 구성 요건이라도 바꿔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배임죄 구성 요건에 사적 이익 추구 등 구체적인 사안을 추가하거나 경영판단의 원칙을 명확하게 하고 상법상 특별배임죄라도 폐지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기업 지배구조나 상법 개정에 관해 정부 입장은 정해진 게 없지만 금감원은 이사회 충실의무 대상이 주주로까지 확대돼야한다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기업들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 범위 확대가 현실화하면 기업 경영의 자율성을 침해받고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 훼손으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한다.

이에 이 원장은 “일도양단으로 말하면 (특별)배임죄 유지와 폐지 중 폐지가 낫다고 생각한다"며 "형사처벌보다 이사회에서 균형감을 갖고 결정하고, 다툼이 있다면 민사법정에서 금전적 보상으로 정리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형법상 배임죄가 있지만 상법에도 특별배임죄가 있어 상법에 어울리지 않는 형태로 과도한 형사처벌 규정이 있다. 특별배임죄는 폐지하는 게 마땅하다"면서 "만약 (특별)배임죄 폐지가 어렵다면 경영판단원칙 등을 통해서 명확히 하는 방법도 있다"고 강조했다.

경영판단원칙의 취지에 대해선 “선언적인 형태가 아닌 이사회가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거쳐야 하는 의무로 명시해 과도한 형사화를 줄이고 (배임죄 범위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원장은 “상법·상속세법 개정안 등 지배구조 관련 제반 안에 대해 정부의 입장은 최종적으로 정해진 것은 없다”며 “현재 논의과정을 거쳐 하반기에 정부 입장을 결정하겠다”고 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