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통상본부장 “공정위 플랫폼법, 통상 역량 저하” 지적

김영택 기자 / 기사승인 : 2024-02-16 13:51:15
  • -
  • +
  • 인쇄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추진하는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에 대해 “우리나라 통상 정책 역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발언했다.


정인교 본부장은 지난 15일 정부세종청사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리 통상 정책 역량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이걸 어떻게 관리할지가 숙제”라고 말했다.

그는 해당 발언을 하면서 공정위의 플랫폼법을 대표적인 사례로 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면서 상당한 우려를 제기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정인교 본부장은 “필요에 의해 새 규제를 검토했을 것”이라면서도 “다른 부처와의 협의를 필요하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공정위가 추진하는 일명 플랫폼법은 공룡 플랫폼에 대한 규제를 통해 독과점 등 폐해를 막겠다는 것이다.

거대 플랫폼 기업을 지배적 사업자로 사전 지정해 이들이 경쟁자를 몰아내기 위한 반칙행위를 강도 높은 규제를 통해 차단하겠다는 얘기다.

하지만, 플랫폼법 규제 대상이 구글, 메타 등 미국 플랫폼 기업이 대거 포함될 것으로 전망되자, 한미간 외교 통상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들 글로벌 기업을 배제할 경우 국내 대형 플랫폼 기업들만 옥죄는 형태로 역차별 논란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와중에 우리나라 시장 점유율이 낮은 알리바바, 테무 등 중국 기업은 규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 역시도 해결해야할 문제다.

공정위가 플랫폼법 추진이 통상마찰로 번지면서 한발 물러난 모양새지만, 관련 법안을 폐기한 건 아니다.  

 

한기정 공정위원장 (사진=공정위)

공정위는 플랫폼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한미간 무역통상 마찰에 대한 검토 조사도 전혀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2024년 1월 31일자 [단독] 공정위, 산업부와 플랫폼법 WTO 제소 가능성 검토조차 안했다 기사참고>

당시 공정위 고위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플랫폼법 통과시 WTO 제소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는지 여부에 대해서 “처음 듣는 얘기”라면서 “산업부와 공정위가 관련 협의를 하고 있는데, (WTO 제소 가능성)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말한 바 있다.

코트라 부사장 출신의 우기훈 뮤레파코리아 수석파트너는 "사전 규제인 플랫폼 법은 애플이나 구글 등 빅테크 기업이 타깃"이라면서 “태생부터 플랫폼법안은 상호주의 원칙에 어긋나기 때문에 WTO 원칙에 위배돼 규제시 WTO제소가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