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 속 외환보유액 증가세 석 달째↑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7 13:17:19
  • -
  • +
  • 인쇄
(사진=한국은행)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미국 달러화의 연속적인 가치 하락으로 인해 석 달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바에 따르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외환보유액은 전월 대비 40억5000만달러 증가한 4199억7000만달러를 기록했다.

 

금융기관들의 외화예수금 증가와 더불어 미 달러화에 대한 평가 절하로 인한 기타 통화 외화 자산의 달러 환산액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9월 중 미국 달러화는 0.9% 가치 하락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타 통화 대비 환산 시 자산 가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환보유액 내 자산별 구성을 살펴보면, 유가증권 부문이 전체 증가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38억6000만달러가 추가됐다. 

 

해당 유가증권에는 다양한 종류의 채권과 자산유동화증권(MBS)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체 보유액 중에서도 88.9%라는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한편 예치금과 특별인출권(SDR) 역시 각각 2억4000만달러와 8000만달러의 성장을 보였으나, 국제통화기금(IMF) 포지션은 소폭 감소하여 1억2000만달러 줄어들었다.

 

현재 한국은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큰 외환보유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4159억달러였다.

 

(사진=연합뉴스)

 

세계적으로는 중국이 약 3조2882억달러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그 뒤를 이어 일본, 스위스, 인도 등이 상위 명단에 올라 있다.

 

미 달러 약세와 글로벌 금융 시장 내 변동성 확대 속에서도 한국의 안정적인 외환보유량 증가는 국제사회에서 금전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토스증권, 주식모으기 수수료 무료화 시행으로 고객돈 32억 절감2025.09.16
Sh수협은행, 트리니티자산운용 인수...포트폴리오 다각화2025.09.16
케이뱅크,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송금 인프라 혁신 가능성 입증2025.09.16
빗썸, 모바일신분증 정부앱·민간앱 인증 확대...국내 거래소 최초2025.09.16
국내 증시 활황에도…넥스트레이드 거래대금 '뒷걸음질'2025.09.1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