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점까지 닫는 은행…내점객 감소에 따른 ‘고육지책’

여세린 / 기사승인 : 2024-02-19 12:41:46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여세린 기자] 수익성 악화에 직면한 국내 시중은행은 서울 강남 역세권 점포까지 문 닫으며 연이어 점포 폐쇄에 나서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2020년 4425개에서 지난해 3분기 3931개로, 3년 새 500개 가까이 줄어들었다.


소위 ‘잘 나가는’ 서울 강남권 점포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은행은 다음달 총 11곳의 점포 문을 닫는데, 서울 강남역, 양재역, 남부터미널 등 강남권의 주요 지점이 해당된다.


최근 국민은행은 서울역환전센터 등 세 지점의 문을 닫았고, 신한은행은 가락동과 구로역점 등 네 곳의 점포 문을 닫았다.


농협은행 역시 올 들어 서울 경동시장지점을 없애고 청량리지점과 합쳐 청량리금융센터로 통합했다.


신한은행 역시 올해 가락동, 구로역, 부천춘의, 부평 등 수도권 점포 네 곳을 없앴다.


저축은행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전국 저축은행의 점포 수는 280곳으로 분기별 집계가 시작된 2016년 9월(325곳)보다 13.8%가 줄었다. 점포 수로 보면 총 45곳의 점포가 사라졌다.


비대면 금융 거래가 자리잡으면서 내점객 감소에 따른 은행권의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은행 관계자는 “대출, 적금 등 비대면 거래가 확산되면서 내점객은 꾸준히 감소하는 상황”이라며 “수익대비 점포를 유지하는 데 드는 비용을 고려해 점포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고령층과 취약계층 등 금융소외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은 여전히 문제다.


앞서 금융당국은 ‘은행 점포 폐쇄 내실화 방안’을 마련해 은행권의 점포 폐쇄를 막기 위한 압박을 지속해 왔다.


소외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은행 점포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은행 점포 폐쇄 전 사전영향평가를 강화하고, 폐쇄 시 공동 점포 등 대체 수단을 의무적으로 마련하도록 했다.


이와 같은 정부의 엄포에도 지난해 초부터 3분기까지 문을 닫은 5대 시중은행 점포는 257개에 달한다.

 

알파경제 여세린 (seliny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