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사업본부, 6년간 5만건 해킹 표적됐다…전체 기관 93.9% 차지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8 12:39:19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우정사업본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 중 사이버 공격의 주요 표적으로 지목됐습니다.


지난 2020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우정사업본부에 탐지된 사이버 침해 시도는 총 5만 265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포함한 전체 64개 소속·산하기관에서 발생한 침해 시도 5만 676건의 93.9%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기관별로는 주무 기관인 우정사업본부가 3만 4757건으로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습니다.

뒤이어 우체국시설관리단 8078건, 우체국물류지원단 8078건, 우체국금융개발원 1454건, 한국우편사업진흥원 2959건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침해 유형별로는 자료 훼손 및 유출 시도가 4만 2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단순 침입 시도도 1만여 건에 달했습니다.

이런 수치는 기관이 자체적으로 파악한 시도 건수일 뿐, 실제 정보 유출이나 서비스 장애로 이어진 사례는 아닙니다.

우정사업본부 및 산하 기관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되는 이유는 다른 연구·정책 기관에 비해 개인 정보, 금융 정보, 물류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이에 따라 침해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산하 기관들도 개인정보 손해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연간 매출액 1500억 원 이상이거나 5만 명 이상의 정보 주체에 대해 민감 정보 또는 고유 식별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 또는 100만 명 이상의 정보 주체에 관해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은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의무 가입 대상에 해당하여 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체국시설관리단,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금융개발원 등 의무 가입 대상이 아닌 기관 중에서는 한국우편사업진흥원만이 보험에 가입한 상태입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9월 예금금리, 1년 만에 반등…가계대출 금리는 보합세2025.10.31
케이뱅크, 인뱅 최초 중진공과 '비대면 정책자금 전용계좌' 도입2025.10.31
'직원 폭행·폭언' 여수 새마을금고 이사장, 배우자 명의 부당대출 의혹도 제기2025.10.31
키움증권, 또 최대 실적 경신...4분기도 브로커리지 수익 증대2025.10.31
NH투자증권, 호실적에도 IMA 인가 불확실성에 '보수적 접근'2025.10.31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