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 빚 부담·증가 속도 '세계 4위'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7-07 11:44:09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 대비 빚 부담 정도와 증가 속도가 세계 주요국 중 4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제결제은행(BIS)이 집계에 따르면 2023년 한국 가계 부문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Debt Service Ratio)은 14.2%로 집계됐다.

DSR은 소득 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한국의 DSR은 전체 조사 대상인 17개국 중 노르웨이(18.5%), 호주(18.0%), 캐나다(14.4%)에 이어 4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DSR은 전년 대비 0.8%포인트 상승했는데, 이는 호주(3.3%포인트), 노르웨이(3%포인트), 캐나다(1%포인트)에 이어 네 번째로 큰 폭의 증가다.

코로나19 이전 한국의 DSR 순위는 5~6위 수준이었으나,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리고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한 이후 3~4위 수준으로 올라섰다.

2019년과 비교하면 한국의 DSR 상승폭은 2%포인트로, 노르웨이(3.2%포인트), 호주(2.9%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BIS의 DSR 산출 방식은 실제보다 낮게 평가될 가능성이 있다. 소득 계산에 금융부채가 없는 가계도 포함하고, 대출 만기를 일괄 18년으로 적용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실제 가계의 부채 부담은 더 높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가계대출 차주를 기준으로 산출한 2023년 4분기 평균 DSR은 38.5%로, BIS 수치(14.2%)보다 훨씬 높았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서울 소형 아파트 거래 '쏠림' 현상..6·27 부동산 대책 영향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