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이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국가들에 함선을 제공하며 해양 안전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이는 중국의 확장적 해양 정책에 대응하여 지역의 안보와 경제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일본 정부와 기업은 이런 협력을 통해 지역 안보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본의 고도로 발달된 조선 기술이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필리핀에는 100미터 길이의 대형 순찰선 5척을 공여하는 등 여러 개발도상국 및 신흥 경제국들과 함께 해양 경계 및 감시 체계 강화를 위한 협력을 진행 중이다.
미쓰비시 중공업 그룹 같은 일본 조선회사들은 최신식 레이더와 헬리콥터 탑재가 가능한 선박을 건조하여, 최전선에서 방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일본의 조선 산업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태평양 전쟁 후 한국 전쟁 시기에 급속도로 회복되어 성장해왔다.
그러나 1973년 오일 쇼크 이후 세계적인 수요 감소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세계 건조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일본은 현재 점유율이 하락한 반면, 중국의 조선업 점유율은 크게 증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본 조선업체들은 여전히 높은 기술평가를 받고 있으며 안전성과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일본외무성 자료에 따르면 관련 업체 수는 약 920개에 달한다.
안보면에서도 일본은 인도네시아와 같은 국가와 협력하여 해상안보를 강화하는 계약을 체결하는 등 국제협력기구(JICA)를 통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주변 해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테러나 해적 행위 등에 대비하여 경계감시 체계를 강화하는 것은 일본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국가들 모두에게 이익이 된다.
스미다가와 조선(도쿄·고토)과 같은 회사는 소형 선박 건조 프로젝트를 담당하며, 사용 후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현지에서 입수 가능한 부품 사용에 주목한다.
공여까지 소요되는 시간 단축과 함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관리 방안 마련이 현재의 과제이다.
동맹국인 미국으로부터도 일본의 조선회사들이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 도입이 검토되고 있어 아시아 주변에서 전개되는 미군 작전의 즉시 응답도 가능한 이점이 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