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은행권 CEO 선임 절차 아쉽다...지배구조 정착 노력해야"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9 10:17:17
  • -
  • +
  • 인쇄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혜실 기자]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9일 "최근 은행들의 최고경영자(CEO) 선임과정 논란과 이사회 견제기능 미흡 사례 등을 볼 때 실제 운영 과정에서의 아쉬움이 남는다"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20개 국내 은행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앞으로 은행들이 각 특성에 맞는 건전하고 선진적인 지배구조 정착에 더욱 노력해달라"며 "최근까지도 고위 경영진이 연루되는 대형 사고 재발을 목도하면서 내부통제의 질적 개선이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실감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원장은 또 "지속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은행의 재무건전성 확보가 전제되어야 하므로, 손실흡수 능력 확보 등 자본적정성 관리와 자율적인 주주환원 사이의 균형추를 적절하게 맞춰달라"고 당부했다.

 

특정 자산 및 상품 판매 관련 쏠림 문제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당부했다. 

 

이 원장은 "경영진의 단기 실적주의에 따른 밀어내기식 영업관행으로 인해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 상품으로의 판매 쏠림이 금융소비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준 바 있다"며 "감독당국과 은행권이 함께 마련 중인 개선 방안이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경영진들이 각별히 신경 써주시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올해도 가계부채가 명목 경제성장률(3.8%) 이내로 관리되고,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 등 상환능력 심사 관행이 확립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협조해달라"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영풍 “최윤범 회장은 나쁜 기업지배구조의 전형”...또 다시 저격2025.09.15
박상진 산업은행 회장 취임 "생산적 금융 전환에 역량 집중"2025.09.15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외국계 CEO에 '키 플레이어' 역할 당부2025.09.15
한학자 통일교 총재 "오는 17일 또는 18일 특검 자진 출석"2025.09.14
배경훈 과기부 장관, ‘해킹 신고 후 조사’ 현행 시스템 지적2025.09.14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