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후 소득공백, 81% 준비 못해... 사적연금의 중요성 부각

김종효 기자 / 기사승인 : 2024-04-22 09:30:09
  • -
  • +
  • 인쇄
이 기사는 알파경제가 생성형 AI(인공지능)를 이용해 제작한 콘텐츠다. 기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차 데스킹(Desking) 시스템을 구축해 양질의 기사를 제공한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비은퇴자 대부분이 은퇴 후 소득공백기간에 대해 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보험연구원은 '소득 크레바스(은퇴 후 소득공백기간)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대비'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60세 미만 전국 성인남녀 1천50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비은퇴자 중 81.3%가 은퇴 후 소득공백기간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오병국·변혜원 연구위원은 "대다수 응답자들은 은퇴 후 소득공백기간에 대한 인식과 대비 수준이 낮으므로 관련 위험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 사적연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에서 언급했다. 

 

보고서는 또한, 은퇴 후 소득공백기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두 연구원은 "응답자들이 예상하는 은퇴 후 주된 소득원 1순위는 국민연금이며, 대부분 정상수급 개시 연령에 연금을 수급할 계획이라고 응답해, 은퇴 후 소득공백 심화 가능성이 크다"고 기술했다.

 

한국경제인협회도 현재 중장년층의 주된 일자리 은퇴 연령이 50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 김종효 기자(kei1000@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FOMC 앞두고 12거래일 만에 하락…3413선 후퇴2025.09.17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