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중vs. 한화오션, R&D 투자 규모 2배차…KDDX 사업자 선정 변수되나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4-22 08:59:14
  • -
  • +
  • 인쇄
작년 HD현대중공업 연구개발비 1331억원, 한화오션 666억원 집계
HD현대중공업, 한국형 차기 구축함 KDDX 기본설계 완료.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7조 8000억원 규모의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 수주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큰 차이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연구비 규모와 개발비 자산화 등 R&D 역량 지표에서 HD현대중공업이 한화오션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르면 24일 열리는 방위사업청 분과위원회에서 사업자 선정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연구개발 투자 규모도 KDDX 사업자 선정 요소에 힘을 보탤 수 있다.

지난해 HD현대중공업의 연구개발비는 1331억원, 한화오션은 666억원으로 집계됐다.

HD현대중공업이 한화오션보다 2배 이상 많은 연구비를 투자한 셈이다. 매출액 대비 연구비 비중은 HD현대중공업이 0.92%, 한화오션이 0.6%로 나타났다. 

 

한화오션, KDDX 등 차세대 함정기술 연구결과 발표. (사진=연합뉴스)

특히 개발비 자산화율은 주목할 만한 지표다.

개발비 자산화율은 연구개발비 중 일부를 무형자산으로 회계 처리한 비중을 의미한다.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기업은 경제적 효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경우 연구개발비 일부를 무형자산으로 인식한다.

지난해 HD현대중공업의 개발비 자산화율은 23.6%, 한화오션은 4.8%로 나타났다.

이는 HD현대중공업이 100억원의 연구비를 투자했을 때 24억원을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산으로 평가한 반면, 한화오션은 5억원만 자산으로 인식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HD현대중공업은 2022년과 2023년에도 각각 300억원 규모의 개발비 무형자산을 인식했으며, 개발비 자산화율은 각각 28%와 25%를 기록했다.

반면 한화오션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간 개발비 무형자산 회계처리가 전무했다.

이는 연구비 가운데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이 없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경주 APEC] 이해진 네이버 의장,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동맹 공식화2025.10.31
삼성전자-엔비디아,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5만개 GPU 도입2025.10.31
고려아연 "법원 결정 존중… 영풍·MBK 적대적 M&A 반드시 저지할 것"2025.10.31
‘더샵 오산역아크시티’ 분양, 오산 최고층 44층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2025.10.31
LG전자, 美 관세·전기차 캐즘에도 가전·전장 '최대 실적'…3분기 영업익 6889억2025.10.31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