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권 갇힌 국내 증시, 데이트레이딩 비중 커졌다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6-17 08:34:28
  • -
  • +
  • 인쇄
14일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3.53포인트(0.13%) 오른 2,758.42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9.14포인트(1.05%) 내린 862.19에, 원달러 환율은 5.4원 오른 1,379.3원에 마감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올해 국내 주식시장 거래의 절반 이상이 하루 안에 사고파는 초단타 매매인 '데이트레이딩'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이달 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시장의 데이트레이딩 거래량은 전체 거래량의 58%에 달하는 1020억9774만주로 집계됐다.

거래대금 기준으로도 전체의 48%인 1111조1139억원에 이른다.

특히 코스닥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57.1%로,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코스피 시장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40.1%로, 최근 5년간 30~40%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데이트레이딩의 주된 주체는 개인 투자자였다.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을 통틀어 개인 투자자의 데이트레이딩 비중은 71.3%에 달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7.8%, 10.2%를 차지했다.

종목별로 데이트레이딩 비중이 가장 큰 종목은 코스피 기준 삼성공조(84%)였다.

이어 코오롱모빌리티그룹(80%), 동일고무벨트(79%), 비상교육(78%), 제주은행(78%), 한국석유(78%), 광전자(77%), 하이스틸(77%), 대영포장(76%) 순이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종목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노브랜드(89%), 씨씨에스(79%), 와이씨(75%), 신성델타테크(73%), 필옵틱스(70%), 제주반도체(68%) 등도 데이트레이딩 거래 비중이 높았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배달종사자 위한 하루짜리 자동차보험 나온다…특약 6개 분야 개선2025.09.17
"금리 인하, 집값 상승 기대 부추길 우려 커"2025.09.17
우리금융에프앤아이, 회사채 3000억 발행2025.09.17
'960만 회원'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수백만명 달할 듯2025.09.17
서울 소형 아파트 거래 '쏠림' 현상..6·27 부동산 대책 영향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