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3대 메이저 은행, 블록체인 기술로 국제 송금 혁신

우소연 특파원 / 기사승인 : 2024-09-05 11:28:22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FG) 등 일본의 주요 3대 은행은 국제 결제 인프라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즉각적인 국제 송금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5일 보도했다.


이 프로젝트는 오는 2025년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존에 최대 한 달까지 걸리던 입금 시간을 거의 제로에 가깝게 줄여 기업의 송금 비용도 크게 절감될 전망이다.

미쓰비시 UFJFG, 미즈호 FG, 미쓰이 스미토모 FG는 다른 일본 은행 및 글로벌 대기업 등 10개 이상의 주요 금융 기관과 함께 올 가을부터 실용화를 위한 실증 실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은 주로 무역 결제를 중심으로 하는 기업 간 국제 송금을 대상으로 하며, 장기적으로는 유학 자금 송금 등 개인 간의 돈 교환에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구조는 국제 결제 인프라인 '국제 은행 간 통신 협회(Swift)'와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주류인 스위프트를 사용한 국제 송금은 여러 은행을 중계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진행되더라도 수십 분이 걸릴 수 있다. 

 

자금 세탁 방지 관련 정보 부족 시에는 최대 한 달까지 소요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번에는 스위프트의 결제 기반을 활용하고, 블록체인 위에 법정 화폐 가치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넷상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결제 수단 중 하나)을 올려 직접 송금함으로써 입금 시간을 1초 이하로 단축한다. 

 

기존 인프라인 스위프트를 활용하기 때문에 금융기관들은 새로운 시스템 구축 없이 투자액을 억제할 수 있으며, 기업들도 기존 절차대로 손쉽게 송금을 의뢰할 수 있게 된다.

기업이나 개인이 지불해야 할 비용은 환율 수수료와 블록체인 기반 이용료만 포함된다. 

 

일본은행은 국제 송금의 경우 송금액의 17.5%가 수수료로 부과됐으나, 블록체인 기반 10% 이하로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 조사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국경을 넘나드는 결제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으로 약 182조 달러에 달한다. 

 

G20 정상회의에서도 국제 송금 비용 및 속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어 이는 세계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

주요기사

세일즈포스(CRM.N), AI 기반 방위사업 강화…'미션포스' 신설2025.09.17
메트세라(MTSR.N) 핵심 파이프라인 임상 결과 대기..가치 본격화 전망2025.09.17
조비어비에이션(JOBY.N) 하늘 위의 '테슬라'..UAM 상용화 따른 모멘텀 풍부2025.09.17
워크데이(WDAY.O), 1조 5천억에 '사나' 인수…AI 통합 가속2025.09.17
일라이 릴리(LLY.N), 美 버지니아에 50억 달러 투자…'5년 내 첨단 치료제 생산 목표'2025.09.17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