텐센트(00700.HK) 14억 중국인의 플랫폼..AI 시장 성장 수혜

김민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9 08:23:12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14억 명이 사용하는 위챗(WeChat) 메신저 기업인 텐센트(00700.HK)가 중국 AI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중국은 내수부진과 미국 관세 등의 이유로 GDP 성장률이 4~5%에서 정체 중인 반면 텐센트는 2019~2024년 CAGR 12%, 최근 3분기 연속 두자릿수의 고성장을 시현하고 있다.

 

게임 부문의 경우 중국내 게임 개발과 퍼블리싱 시장 내 압도적인 1위 기업으로 MAU 14억명의 Weixin 메신져 게임 연동을 통한 마케팅 효과, ‘Riot Games’등 글로벌 게임사 인수로 해외 매출을 고성장을 기록 중이다.

 

핀테크는 중국의 14억 모바일 사용자수, QR 코드 결제 시스템의 빠른 대중화로 현금 없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WeChatPay 점유율은 54.5%로 중국 핀테크 시장 42조 RMB 규모에서 연평균 15.7% 성장이 전망된다.

 

이창영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중국 AI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기대된다"며 "자체 개발 AI 모델 ‘HunYuan’ 광고 플랫폼에 적용, 실시간 사용자 관심사 파악, 광고 성과 최적화 등으로 광고 매출 성장률이 2022년 4분기 이후 두자릿수를 유지 중"이라고 분석했다.

 

‘HunYuan’ 활용, 게임 개발 시간 단축, 비용 감소, 플레이어 확보 및 참여도 증가 등 게임 매출도 최근 3분기 연속 20% 이상 성장 중이다.

 

텐센트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기업에게 ‘HunYuan’ 제공하는데 2024년 AI 클라우드 매출액 두배 이상 증가했다. 

 

글로벌 빅테크 중 가장 높은 성장 시현 중으로 중국 또한 AI 빅데이터 학습에 필요한 막대한 컴퓨팅 자원 사용에 따른 클라우드 수요의 급증으로 2024~2027E 연평균 35.8% 고성장 이 예상된다. 

 

‘HunYuan’ 은 14억명이 사용하는 SNS와 연동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학습하여 발전 중으로 가격 경쟁력면에서도 ChatGPT는 물론 딥시크보다도 저렴한 수준이다.

 

(출처=유안타증권)

 

중국 정부의 강한 규제에서 강한 육성으로의 정책 변화도 긍정적이다.

 

중국 정부는 온라인 게임을 ‘정신적 아편’에 비유하면서 청소년에게 평일 게임 금지, 신규게임 판호발급이 급감하며 게임 산업이 급격하게 둔화했다. 

 

그러나 2025년 3월 중국 양회에서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경제의 핵심 기술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와 육성이 강조, 텐센트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혁신을 주도, 민간 기업이 경제 구조 고도화를 선도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이창영 연구원은 "아직까지도 성장 잠재력 대비 미국, 한국 플랫폼 기업보다 낮은 텐센트의 벨류에이션 멀티플은 정부 규제 감소와 이로 인한 성장성 증대, AI 사업 확대 등으로 추가적인 상승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주요기사

메타(META.N) 신형 AI 글래스 공개, 단기 실적 개선 전망2025.09.19
우버UBER.N), 드론 음식 배달 재도전…이스라엘 스타트업 '플라이트렉스'와 협력2025.09.19
AT&T(T.N), 50억 달러 대규모 채권 발행…네트워크 투자 재원 확보2025.09.19
엔비디아(NVDA.O), 인텔(INTC.O)에 50억 달러 지분 투자…'증시 들썩'2025.09.19
듀폰(DD.N), 2025년 매출 전망 대폭 하향 조정…순수 사업 체제 재편2025.09.19
뉴스댓글 >

HEADLINE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