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중심 근로시간 유연화"...삼성, 주64시간 근무 확대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5 08:06:40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반도체 등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52시간 근무제 완화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삼성그룹의 여러 기술 계열사들이 주 64시간 근무제를 도입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최근 연구개발(R&D) 인력을 대상으로 주 64시간 근무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법정 근로 시간은 주당 40시간이며, 연장근로는 최대 12시간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연구개발 분야와 같은 특수 직종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인가와 근로자의 동의를 통해 주 64시간까지 일할 수 있다.

현행 특별연장근로 인가 제도에서는 연구개발을 사유로 한 인가 기간이 최대 3개월이며, 이를 최대 세 번 연장해 총 12개월 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까다로운 요건으로 인해 지난해 R&D를 이유로 한 특별연장근로 사용은 전체의 0.5%에 그쳤다.

이에 정부는 최근 시행령을 개정해 한 번의 연장으로도 1년 동안 주 64시간 근무가 가능하도록 인가 기간을 최대 6개월로 늘렸다.

국회에서 '반도체 특별법'이 표류하자 정부는 이와 같은 보완책을 마련했다. 기술 경쟁력이 시급한 업계에서는 이를 적극 활용하는 움직임이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 (사진=연합뉴스)

지난해에는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과 모바일경험(MX) 사업부에서 먼저 주 64시간 특별연장근무를 도입한 바 있다.

최근 중국과 치열하게 경쟁 중인 배터리 업체인 삼성SDI도 이런 흐름에 합류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말 삼성디스플레이에서 SDI 수장으로 자리를 옮긴 최주선 사장이 '기술통'으로서 기술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동원그룹, 인재상 담은 '도전·창조·함께' CF 시리즈…”젊은 세대 응원 메시지”2025.09.15
한미약품, 멕시코에 당뇨약 공급 계약 체결...중남미 시장 공략 가속2025.09.15
티웨이항공, 신입 객실 승무원 채용...지방 노선 확대 나선다2025.09.15
크래프톤, ‘딩컴’ 닌텐도 스위치 출시 확정·사전 판매 시작2025.09.15
대한항공 3분기 영업익 예상치 하회 전망..여름 성수기 효과 '미미'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