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AI 메모리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제공) |
[알파경제=문선정 기자]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은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Summit) 2025’에서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Full Stack AI Memory Creator)'라는 새로운 비전을 발표했다.
곽노정 사장은 이날 'AI 시대, SK하이닉스가 그리는 새로운 비전과 기술'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AI 시대 메모리 반도체의 위상과 회사의 미래 전략을 제시했다.
곽 사장은 "지금까지 SK하이닉스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는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Provider)’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는 고객이 가진 문제를 함께 해결하며 생태계와 활발히 협업해 고객이 기대하는 것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겠다." 고 밝혔다.
이어 "공동 설계자(Co-Architect)이자 파트너, 생태계 기여자(Eco-Contributor)로서 풀 스택 AI 메모리를 창조하는 크리에이터가 될 것"이라고 의지를 다졌다.
AI 확산으로 데이터 이동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하드웨어 기술 또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메모리 성능은 정보 처리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메모리 월(Memory Wall)’ 문제가 존재하며, AI 성능에서 메모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곽 사장은 "AI 성능에서 메모리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커지며, 메모리는 단순 부품이 아닌 AI 산업의 ‘핵심 가치 상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메모리에 요구되는 성능도 기존의 방법으로는 달성이 어려워지고 있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는 SK하이닉스의 풀 스택 AI 메모리 라인업도 공개됐다. 이 라인업에는 Custom(커스텀) HBM, AI DRAM(AI-D), AI NAND(AI-N) 등이 포함된다.
커스텀 HBM은 고객 맞춤형 설계로 GPU·ASIC 일부 기능을 HBM 베이스 다이로 옮겨 성능을 극대화하고 전력 효율을 개선하도록 개발됐으며, AI D램(AI-D) 제품군은 데이터센터 최적화 및 총소유비용 절감을 지원하는 AI-D Optimization, 초고용량과 자유로운 메모리 할당으로 메모리 월을 극복하는 AI-D Breakthrouth, 로보틱스, 모빌리티,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응용 분야를 지원하는 AI-D Expansion으로 구성됐다.
AI NAND(AI-N) 제품군은 대규모 AI 추론 환경에서 속도와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AI-N Performance, 적층을 통해 대역폭을 확대한 AI-N Bandwidth, PB급 초고용량을 구현하고 SSD 속도와 HDD 경제성을 결합한 AI-N Density로 차세대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엔비디아와 HBM 협력 및 옴니버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AI 제조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픈AI와 고성능 메모리 공급을 위한 장기 협력, TSMC와 차세대 HBM 베이스 다이 등에 대해 밀접하게 협업 중이다.
또한 샌디스크와 HBF(High Bandwidth Flash)의 국제 표준화, 네이버클라우드와 차세대 AI 메모리 및 스토리지 제품의 실제 데이터센터 환경 최적화를 위한 협력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곽 사장은 “AI 시대에는 고객과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내고,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 성공할 것”이라며 “SK하이닉스는 고객 만족을 최우선 목표로, 최고의 파트너들과 함께 기술 발전과 미래 개척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문선정 기자(pres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