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대기업 시총 1위 유지...SK 2위 재탈환

김영택 기자 / 기사승인 : 2025-01-30 11:47:36
  • -
  • +
  • 인쇄
삼성전자 주가 부진으로 5년래 최저, HD현대·한화 순위 급상승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삼성그룹이 2023년 국내 대기업그룹 시가총액 순위에서 1위 자리를 지켰으나, 그 규모는 5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SK그룹은 3년만에 시가총액 2위 자리를 재탈환했다.


한국거래소가 3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삼성그룹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 기준 543조333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44% 감소했다.

이는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주력 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주가가 32.23% 하락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SK그룹은 202조7280억원의 시가총액을 기록하며 3년 만에 2위 자리를 탈환했다.

SK그룹의 시총은 전년 대비 12.81% 증가했는데, 이는 SK하이닉스의 HBM 반도체 경쟁력 우위와 그에 따른 22.90%의 주가 상승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LG그룹은 144조6460억원으로 시총이 23.88% 감소하며 3위로 한 계단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의 주가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그룹은 141조6520억원으로 4위를 유지했다.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HD현대그룹의 급상승이 있다. HD현대그룹은 시총이 123.93% 증가한 76조84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10위에서 5위로 5계단이나 순위가 상승했다.

이는 HD현대마린솔루션의 상장과 조선업 호황에 힘입은 결과로 해석된다.

한화그룹 역시 순위가 크게 상승했다.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조선 및 우주항공 계열사의 주가 강세에 힘입어 11위에서 8위로 올라섰다.

반면, 롯데그룹은 13조770억원의 시총으로 19위까지 순위가 하락했다. 이는 2022년 11위, 2023년 12위에 이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시가총액 순위 변동은 각 그룹의 주력 산업 경쟁력과 시장 환경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조선, 우주항공 등 첨단 산업 분야의 성과가 그룹 전체의 시총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주요기사

동원그룹, 인재상 담은 '도전·창조·함께' CF 시리즈…”젊은 세대 응원 메시지”2025.09.15
한미약품, 멕시코에 당뇨약 공급 계약 체결...중남미 시장 공략 가속2025.09.15
티웨이항공, 신입 객실 승무원 채용...지방 노선 확대 나선다2025.09.15
크래프톤, ‘딩컴’ 닌텐도 스위치 출시 확정·사전 판매 시작2025.09.15
대한항공 3분기 영업익 예상치 하회 전망..여름 성수기 효과 '미미'2025.09.15
뉴스댓글 >